-
...상주의 회화 양식을 추구하며 빛과 색이 이루어내는 자연을 맑고 밝은 색채로 그려냈다. 오지호 는 서구의 인상주의를 한국적 풍광과 정감으로 토착화시킨 화순 출신의 대표적인 서...오지호·김주경 이인화집』 을 발간하게 되었는데 여기에는 두 사람의 작품 각 10점과 오지호 의 「순수회화론」 , 김주경 의 「미와 예술」 두 논문이 함께 실렸다. ...
-
전라남도 화순군 출신 인상파 화가 오지호 를 추모하기 위한 기념관. 오지호 기념관 은 호남 지역의 서양 화단에 많은 영향을 끼친 오지호 화백이 태어난 화순군 동복면 에 그의 삶과 예술 세계를 추모하기 위하여 화순군청 과 유족이 뜻을 합쳐 세운 기념관이다. 1992년에 기념관 건립 추진 위원회 위원장 박...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에 있는 화가 오지호 가 태어난 근대 한옥. 화순 오지호 생가 는 한국 근대 서양 화단의 거목으로 평가받는 오지호(吳之湖) [1905~1982]의 생가이다. 그는 이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일본 의 동경 미술 학교 유학 후 한동안 이곳에서 기거 하면서 작품 활동을 했다. 한...
-
오지호(吳之湖) [1905~1982]는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출신의 서양화가이다. 본관은 동복 오씨 로 호는 모후산인(母后山人) 이고 본명은 ... 오지호 는 학생 신분이었기 때문에 다시 서울 로 올라와 학교 생활을 이어갔다. 오지호 는 1923년에 고려 미술원 에 다니며 목탄 데생과 그림에 대한 이론 공부를 충...
-
전라남도 화순군 출신 화가 오지호(吳之湖) 가 그린 유채 회화. 오지호 는 동경 미술 학교 유학 시절부터 일본 화풍과 차별화한 조선풍의 화면 설계에 주력하였던 작가로, 작품 남향집 에서 인상주의 화풍으로 식민지 현실을 표현하였다. 남향집 은 80.5✕65㎝ 크기의 캔버스 유채 작품으로 1939년에 그렸는데...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에 위치한 오한추 와 오효술 의 부자 효문. 동복 오씨 집안의 1881년(고종 18)에 효행으로 동몽교관에 추증된 오한추(吳漢樞) 와 1885년(고종 22)에 효행으로 사헌부 감찰에 추증된 오효술(吳效述) 의 부자의 효자 정문이다. 오한추 는 부 오계운 이 ...
-
전라남도 화순군 출신의 서양화가. 오승윤(吳承潤) [1940~2006]은 오지호 화백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조선 대학교 부속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나왔으며 홍익 대학교 를 졸업하고 프랑스 의 아카데미 드 라그랑드 쇼미에르 등에서 공부했다. 특히 한국 의 자연과 전통 문화 등을 표현한 구상 미술에 몰두...
-
... 화순 출신의 관인. 본관은 동복(同福) , 호는 소재(小齋) . 교관(敎官) 오한추(吳漢樞) 의 증손이며, 아버지는 오연수(吳然琇) 이다. 아들은 서양화가 오지호(吳之湖)이다. 오재영(吳在永) [1865~1919]은 1907년 광주(光州) 에서 9품직에 임용되고 광주부 지방 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1909년 보...
-
...지정되어 관리되거나 건축사적 중요성을 보이는 것으로 양씨 가의 동족 마을을 비롯하여 이경휴 가옥 , 조철환 가옥 , 박병옥 가옥 등의 전통 가옥과 근대 문화재인 오지호 생가 등을 꼽을 수 있다. 전라남도 의 주거 건축은 ‘一자형‘의 살림채들이 지형에 따라 자연스럽게 배치되는 분산형 주거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一자형' 주...
-
... 1955년 광주 사범 대학 으로 옮기고, 1957년 3회 개인전을 광주 Y싸롱 에서 개최 후 앵포르멜 미학을 추상의 원류로 보고 실험적인 작업에 몰두하여 1960년에 오지호 와 『전남일보』 에 「구상, 비구상의 시비」 논제로 지상 논쟁을 하였다. 1962년, 전남 미협 발족으로 1,2대 회장을 역임하고 1965년 에포크회 발족에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