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둘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1276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하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0년 6월 18일 - 「둘레」 박조원으로부터 채록
채록지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구장리 지도보기
성격 민요
토리 경토리
기능 구분 기능요|노동요
가창자/시연자 박조원

[정의]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던 노동요.

[개설]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서 손으로 논을 훔치며 잡초를 제거하는 세벌매기를 할 때 부르는 일련의 노래들 중 가장 먼저 부르던 노래이다. 「둘레」라는 명칭은 손으로 논을 두른다[고른다]는 뜻에서 유래된 것이다.

[채록/수집 상황]

1981년 간행된 『한국구비문학대계 1-5: 수원시·화성군편』 433쪽~434쪽에 수록되어 있다. 1980년 6월 18일 경기도 화성군[현 화성시] 팔탄면 구장리에서 현지 주민 박조원[남, 56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둘레」는 좌우의 두 패로 나뉘어 서로 번갈아 소리를 주고받는 교창의 형식으로 불린다. 논매기 작업이 매우 고되기 때문에 소리를 할 때 허리를 펴고 일어서서 할 때가 많다.

[내용]

두울레이 두울레/어~기여차 그만둘러라/ 두울레이 두울레/어~기여차 그만둘러라/ 가물은 밤으은 못둘루네/ 여기서 저만큼 둘러줘/ 두울레이 두울레/어~기여차 그만둘러라/두울레이 두울레/어~기여차 그만둘러라/두울레이 두울레/어~기여차 그만둘러라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둘레」는 보통 초벌, 두벌, 세벌 등 세 번에 걸쳐 행해지는 논매기 중 세벌 논매기에서 불리던 노래이다. 손으로 직접 논을 훔치며 잡초를 제거하는 고된 노동 중에 일하는 이들 사이의 호흡을 맞추어 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불린다.

[현황]

2005년 간행된 『화성시사』에 따르면 팔탄농요는 「모심는 소리」, 호미로 논매기를 할 때의 「얼카덩어리」, 손으로 훔치며 논매기를 할 때의 「둘레」, 「문생이」, 「긴방아」, 「중거리 바앙호」, 「상사」, 「몬돌 소리」 등으로 구성된다. 팔탄면 향토민요보존회를 중심으로 노래의 복원 및 문화재 지정을 위한 노력이 진행중이다.

[의의와 평가]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은 넓고 기름진 토지를 가진 벼농사 위주의 전형적인 농촌으로 특색있는 농업 노동요가 발달했다. 「둘레」는 화성시 팔탄농요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민요로 보존 가치가 매우 높은 작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