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0059 |
---|---|
한자 | 嚴川 |
영어공식명칭 | Eomcheon Stream |
이칭/별칭 | 임천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장항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세훈 |
전구간 | 엄천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장항리 |
---|---|
해당 지역 소재지 | 엄천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
![]() |
해당 지역 소재지 | 엄천 -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장항리
![]() |
성격 | 하천 |
면적 | 475㎢[유역면적] |
길이 | 28㎞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에서 시작해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장항리에서 남강에 합류하는 지류하천.
엄천의 상류 지역에는 지리산의 뱀사골, 백무동 계곡, 칠선계곡과 용유담 등이 있다. 엄천은 지리산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라 수온이 찬 편이다. 강이 약 30㎞로 긴 편이며 급류 지역이 많고 물속에 바위도 많다. 엄천의 물은 경호강으로 합류해 진양호의 발원지가 된다. 크고 작은 기암이 강을 막고 그 사이에 여울과 소가 많으며 급류를 이룬다. 이 지역에는 선캄브리아 시대의 편마암류부터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및 백악기에 관입한 심성암류, 백악기의 퇴적암류 및 화산암류에 이르는 다양한 암석이 분포한다.
지리산에서 발원한 가채천이 산내의 만수천과 만나 함양군 마천면의 엄천이 되고 용유담을 지나 함양군 휴천면의 엄천강이 되며 경상남도 산청군과 경계를 이룬다. 임천이라고도 부른다. 엄천 유역의 남·서·북 3면은 봉화산, 삼봉산, 반야봉, 삼도봉[날라리봉], 명선봉, 형제봉, 덕평봉, 칠선봉, 연신봉, 연하봉, 제석봉, 천왕봉, 주봉, 하봉 등의 심산준령이 있으며 동으로는 엄천의 본류인 남강 유역과 접한다. 심산준령이 주로 남측분수계에 있어 남측이 높고 북측이 낮으며 동서의 길이가 남북의 길이보다 큰 지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 하천변을 따라 충적토상에 자연발생적인 마을이 산재하여 있으며 유역은 대체로 급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지리산에서 발원하는 계곡 중 가장 수량이 풍부하고 급류가 많아 래프팅 명소로 꼽혀 여름철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