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도은선생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938
한자 陶隱先生集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이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406년연표보기 - 『도은선생집』 간행
문화재 지정 일시 2020년연표보기 - 『도은선생집』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지정
소장처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문집
관련 인물 이숭인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에 있는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이숭인의 문집.

[개설]

이숭인(李崇仁)[1347~1392]은 고려말 조선초 문신으로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몽가(蒙哥)·자안(子安), 호는 도은(陶隱)이다. 목은(牧隱 ) 이색(李穡)[1328~1396],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1337~1392]와 함께 고려 삼은(三隱)으로 알려져 있다. 이숭인은 고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섰으며, 명나라와의 외교관계가 중시되던 우왕(禑王) 때에는 많은 외교문서를 찬하여 찬(撰)하여 문명(文名)이 중국에까지 널리 알려졌다. 공양왕 때 정몽주(鄭夢周)가 살해되자 그 일당으로 몰려 순천으로 유배되었다. 전남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은 조선 태종의 명으로 1406년 변계량(卞季良)이 편집하여 편찬한 초간본(初刊本)이다. 1964년 운암 변극 교수가 기증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도은선생집』은 이숭인이 생전에 서(序)와 발(跋)을 받아 둔 점으로 미루어 편성을 마쳤지만 간행은 못하였다. 이숭인 사후인 1406년(태종 6), 이숭인에게 이조판서를 추중하고 문충(文忠)의 시호를 내린 다음 유고(遺稿)를 모아 간행하라는 태종의 명에 의해 변계량(卞季良)이 편차(編次), 권근(權近)이 서문을 찬(撰)하여 시집(詩集) 3권· 문집(文集) 2권으로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도은선생집』은 5권 1책(128장)으로, 크기는 세로 20.4㎝, 가로 12.9㎝ 이다. 사주단변( 四周單邊)으로,반곽(半郭)은 20.4 x 12.9cm이다. 11행 19자로,내향흑어미(內向黑魚尾)이다. 판심제(板心題)는 도문(陶文)이다.

[구성/내용]

『도은선생집』에는 고려시대 말기 ~ 조선시대 초기의 인물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권두에 명나라 주탁(周卓)과 정도전(鄭道傳)·권근(權近)의 서문이 있고, 5권 말미에 목은 이색(李穡), 명나라 장부(張溥)와 고손지(高巽志)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1~3은 시집으로 권1은 사(辭) 1편과 고시(古詩) 30제, 권2에는 율시(律詩) 154제, 권3에는 절구(絶句) 151제가 수록되어있다. 권4~5는 문집으로 권4에는 기(記) 7편, 서(序) 12편, 지(誌) 1편 등 총 20편이 실려 있고, 권5에는 전(傳) 2편, 제후(題後) 3편, 의(議) 1편, 행장 1편, 찬(讚) 1편, 자설(字說) 1편과 표(表) 17편, 전(箋) 5편 등 총 31편이 실려 있다. 이 중 1406년에 쓴 권근의 봉교서(奉敎序)를 제외하면 모두 저자 생전에 성편(成編)된 시문고(詩文稿)의 서(序)와 발(跋)이다.

[의의와 평가]

문인 이숭인은 고려말 문학과 도학을 겸하여 국내외에 명성을 떨친 인물이다. 그의 문집인 『도은선생집』은 이숭인의 생애·사상·문학이 담겨 있으며 당시 인쇄술과 사회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조선 초기 문집으로 불교서적이 압도적 다수임에 반해 유가전적은 매우 희귀한 것으로 문화재 가치가 있다. 본서와 동일한 판본은 희귀한 편이며, 조선조 들어 왕명에 의해 간행된 첫번째의 문집이라는 점에서 조선시대의 문집간행의 흐름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본서는 조선 초기의 목판본(木板本)으로 계선(界線)이 없으며, 본문의 중복된 글자는 표시만 하고 글자를 쓰지 않는 등 고려 판본의 양식이 남아 있어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동일 판본인 계명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금속활자본 계미자본[1407년, 태종 7]은 『도은선생시집』 권1~2가 전하는데 201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