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아당효행비시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542
한자 淸雅堂孝行碑詩集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민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976년 - 『청아당효행비시집』 편찬
간행 시기/일시 1976년연표보기 - 『청아당효행비시집』 간행
성격 시집
편자 안동김씨 전남화수회
간행자 안동김씨 전남화수회

[정의]

김형근의 효행을 칭송한 시들을 모아 안동김씨 전남화수회에서 1976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청아당효행비시집(淸雅堂孝行碑詩集)』은 안동김씨(安東金氏) 전남화수회(全南花樹會)에서 김형근(金衡根)의 효행을 칭송한 시들을 모아 편찬한 시집이다. 김형근의 자는 성범(聖範), 호는 청아당(淸雅堂)으로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고려의 개국공신이자 대광(大匡)에 임명된 김선평(金宣平)의 후예로 효성이 지극하였다. 광주광역시 북구 청옥동[현 광주광역시 북구 석곡동] 덕봉산 녹석곡 수원지에 김형근의 효행을 기리는 청아당안동김공형근효행비(淸雅堂安東金公衡根孝行碑)가 세워져 있다.

[편찬/간행 경위]

『청아당효행비시집』은 안동김씨 전남화수회가 주도하여 광주향교(光州鄕校)와 광주유도회(光州儒道會)에서 김형근의 효행을 칭송한 시들을 모아서 1976년에 간행한 시집이다.

[서지적 상황]

『청아당효행비시집』은 단권 1책, 연활자본(鉛活字本)으로 간행되었다.

[구성/내용]

『청아당효행비시집』은 1976년 성락서(成樂緖)가 쓴 서문, 1974년 김윤동(金潤東)이 쓴 비문, 청아당안동김공형근효행비의 전·후면 사진, 본문의 시 508수, 1976년 박재용(朴載龍)에 쓴 발문, 부록(附錄)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모두 청아당 김형근의 효행을 찬시(讚詩)한 내용들이다.

[의의와 평가]

『청아당효행비시집』은 당시 전라남도 광주 지역 문인들의 한시 양상을 엿볼 수 있는 한편, 후손들에게 모범이 될 만한 인물을 알리는 데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호남한문고전연구실, 『호남지방지 기초목록』(전남대학교 출판부, 2014)
  • 호남지방문헌연구소-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honamculture.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