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무진음사시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537
한자 武珍吟社詩稿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민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70년연표보기 - 『무진음사시고』 1집 간행
간행 시기/일시 1975년 - 『무진음사시고』 2집 간행
간행 시기/일시 1983년 - 『무진음사시고』 3집 간행
간행 시기/일시 1991년 - 『무진음사시고』 4집 간행
간행 시기/일시 2000년 - 『무진음사시고』 5~6집 간행
간행처 광주향교 -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5[구동 22-3]지도보기
성격 시문집
편자 무진음사
간행자 광주향교[5~6집]

[정의]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결성된 무진음사의 시문을 모아 1970~2000년 사이에 다섯 차례에 걸쳐 간행된 시집.

[개설]

무진음사(武珍吟社)는 1965년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결성한 한시회(漢詩會)이다. 류종룡(柳鍾龍)은 시학(詩學)이 점차 쇠퇴해져 감을 걱정하여 호남의 선비들과 계를 맺어 광주의 옛 이름 '무진(武珍)'을 따와 무진음사라고 하였다. 그리고 매월 9일 광주향교에서 시 짓는 모임을 가졌다.

『무진음사시고(武珍吟社詩稿)』는 무진음사의 활동 중 지어진 시문을 모아 간행한 시집이다.

[편찬/간행 경위]

『무진음사시고』는 6집까지 간행되었다. 1집은 처음 무진음사를 결성했던 해인 1965년부터 1970년 사이의 시들을 모아 1970년에 간행하였다. 2집은 1971년부터 1975년까지의 시들을 모아 1975년에 간행하였다. 3집은 1976년부터 1982년까지의 시들을 모아 1983년에 간행하였다. 4집은 1~3집을 합하여 상하로 나눠 1991년에 간행하였다. 5집과 6집은 한 책으로 합하여 1991년부터 2000년 사이 10년간의 시들을 모아 2000년에 광주향교에서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2000년에 간행된 『무진음사시고』 5~6집은 2권 1책 양장본(洋裝本)이다.

[구성/내용]

『무진음사시고』 5~6집에는 고운석(高云錫)이 서문, 당시 광주광역시장 고재유(高在維)가 축간사, 그리고 손평기(孫坪琦)가 발문을 썼다. 그리고 이와 함께 4집에 실렸던 김정회(金正會)와 윤정복(尹丁鍑)의 서문과 당시 광주직할시장 이효계(李孝桂)의 축간사, 류종룡과 최선진(崔善鎭)의 발문이 함께 실려 있다. 이외에도 규약과 사원 명록이 수록되어 있다. 본문에서는 1991년부터 2000년 사이의 회음(會吟) 때 지어진 시문들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무진음사시고』는 전라남도 광주 지역 문인들의 시사(詩社) 결성과 활동 사항을 알 수 있으며, 당시 문인들의 작품 세계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호남한문고전연구실, 『호남지방지 기초목록』(전남대학교 출판부, 2014)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http://www.gjsgcc.or.kr)
  • 호남지방문헌연구소-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honamculture.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