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운림당시문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520
한자 雲林堂詩文集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황민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933년 - 『운림당시문집』 편찬
간행 시기/일시 1933년연표보기 - 『운림당시문집』 간행
성격 시문집
편자 노형규

[정의]

전라남도 광주 지역에서 결성된 문인 단체인 해양음사의 시문을 모아 1933년에 편찬한 시집.

[개설]

『운림당시문집(雲林堂詩文集)』은 최석휴(崔錫休), 기동설(奇東卨) 등의 문인들이 무등산 아래 운림당(雲林堂)에서 결성한 해양음사(海陽吟社)의 시문들을 모아 1933년에 엮은 책이다. 서문은 기동설, 노춘방(盧春芳)이 썼다. 최석휴는 당시의 부호로 1871년(고종 8) 운림당을 짓고 해양음사를 만들어 많은 지역 문인들과 교유하였다. 특히 정만조(鄭萬朝), 윤용구(尹用求), 권익상(權益相) 등과 교유한 시문이 남아 있다.

[편찬/간행 경위]

『운림당시문집』은 해양음사의 시문들을 모아 노형규(盧衡奎)의 주도로 편찬된 시집이다.

[서지적 상황]

『운림당시문집』은 2권 2책의 석인본(石印本)으로 1933년에 간행되었다.

[구성/내용]

『운림당시문집』의 권 1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서문을 시작으로 「운림당기지역사(雲林堂基址歷史)」, 「운림당공사창수운(雲林堂工事唱酬韻)」, 「운림당제판고금필적(雲林堂提板古今筆跡)」, 「운림당도급전경도(雲林堂圖及全景圖)」, 「운림당실중천장천문도(雲林堂室中天障天文圖)」, 「운림당상량문(雲林堂上樑文)」, 「운림당기(雲林堂記)」, 「운림당원운급팔경시(雲林堂原韻及八景詩)」, 그리고 해양음사 임원록과 회원들의 작품들이 차등을 두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운림당도」와 「전경도」는 허건(許楗)이 그린 작품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낙관은 찍혀 있지 않다.

『운림당시문집』의 권 2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당선되지 않은 작품만을 별도로 수록한 선외시문(選外詩文)과 임원창수(任員唱酬), 발문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외시문의 경우 경상남도 1수, 경상북도 21수, 충청남도 49수, 충청북도 67수, 경기도 79수, 강원도 97수, 황해도 119수, 평안남도 134수, 평안북도 155수, 함경남도 169수, 함경북도 185수, 일본 190수, 중국 190수 순으로 국내 각 지역뿐 아니라 해외 문인들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운림당시문집』은 근대 문인들의 시사(詩社) 결성 및 활동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호남한문고전연구실, 『호남지방지 기초목록』(전남대학교 출판부, 2014)
  • 호남지방문헌연구소-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honamculture.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