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035
한자 光州-始作-4·19革命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상환

[정의]

1960년 3월 15일 집권 자유당이 초대 이승만 대통령의 영구화로 획책한 제4·5대 정부통령 부정 선거를 규탄하기 위해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촉발된 국민적 항쟁.

[개설]

36년의 일제 식민지에서 광복된 대한민국이 친일 세력을 청산하지 못하고, 그들을 되려 초대 이승만 대통령의 집권 세력으로 재등장시킨 데서부터 4.19혁명은 시작되었다. 이승만 정권은 종신 집권을 위한 발췌 개헌을 필두로 국회 사사오입 파동, 반대 세력에 대한 폭력 탄압, 언론기관의 폐쇄, 정치 사찰 등을 식민 통치 시대와 다름없이 되풀이하였고, 민주공화국의 기본 질서를 스스로 파괴시켰다. 자유당 정권의 거듭된 경제 정책 실패와 부패 만연으로 국민 생활은 도탄에 빠졌고 이로 인한 국민 분노는 극에 다다랐다.

국민들의 민심에서 멀어진 자유당은 급기야 1960년 3월 15일 제4·5대 정부통령 선거를 통해 정권의 영구화를 꾀하였지만, 그 부정 선거는 광주와 마산에서 일어난 3.15 시민 봉기의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부정 선거 진상 규명에 나섰다가 자유당 반공청년 단원들의 테러로 번진 고려생 집단 유혈 사태인 4.18 민주의거는 이튿날 4.19혁명을 전국적인 불길로 치솟게 하였다. 4·19혁명은 이와 같이 광주, 마산, 서울의 3대 민중 세력 권역이 서로 작용해 3.15 부정 선거 규탄부터 4.26 이승만 대통령 하야에 이르기까지 전 국민이 봉기한 항쟁이었다.

[4·19혁명의 도화선]

1960년 3월 15일 제4·5대 정부통령 선거 전야에 전남의 민주당원과 시민들의 걱정은 선거투표장에서의 당원들과 참관인의 신변 문제였다. 여수, 광산에서의 민주당원 살인사건은 투표 참관인의 추천까지 어렵게 하였고, 선거 분위기를 온갖 공포에 휩싸이게 하였다. 3월 15일 아침부터 민주당 참관인의 투표소 입장이 거부당하고, 축출당하고, 어떤 곳에서는 부녀자가 투표 통지서를 요구하자 폭행을 당해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후송되었다는 보고 등이 잇달았다. 광주시 77개 투표소의 분위기는 어느 곳이나 대동소이하였다. 투표소 100미터 이내에는 자유당 완장부대와 반공청년부대가 여기저기 배치되어 있었고 민주당원의 출입은 일체 허용되지 않았다. 아침부터 극도로 흥분한 민주당원과 시민들은 주권을 포기한 채 선거사무소로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12시 45분 광주 금남로 4가 민주당 선거사무실 앞에 모인 1,200여 명의 시민 위세는 대단하였다. 그러나 수백 명의 폭력 경찰은 경찰국을 향해 밀고오는 시위대를 그대로 두지 않았다. 총개머리판과 곤봉으로 시민들에게 마구 내리치고, 발로 짓밟으면서 무차별 공격을 퍼부었다. 그러나 시위대는 해산은커녕 더욱 발악하며, "우리들의 발걸음을 막는 자 누구냐!". "너희들이 민주 경찰이냐 ?", "자유당의 앞잡이 불쌍한 괴한들아 물러가라!", "우리들의 자유와 권리를 지키자! ", "민주주의 죽었네, 아이고! 아이고!" 라고 외쳐댔다. 시민들은 땅바닥에 쓰려져 구르며 앞으로 나아갔다. 순식간에 수많은 부상자들이 흘린 피가 거리를 적시고, 선봉대들은 무더기로 경찰에 붙잡히고 수배되었다. 이 사실은 민주당 중앙본부에 보고되었고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3월 15일 광주 금남로의 ‘곡(哭) 민주주의 장송’ 봉기는 오후 3시 40분경 마산 봉기로 이어져 이날 밤 김주열의 주검으로 촉발된 4·19혁명의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이어 3·15 사태 책임 규명에 나섰다가 자유당 조직 깡패들에게 테러를 당한 4·18 고려대생 집단 유혈 사태가 터져 4·19혁명으로 나아가는 전국 불길이 치솟았다. 4.19혁명은 부정선거에 맞서서 선거일로부터 4월 26일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할 때까지 42일 동안 학생들이 앞장서고 전 국민이 독재를 막아낸, 민주주의의 쟁취를 위한 항쟁이었다.

[전개과정]

1960년 4.19혁명이 일어나기 전후의 주요 사건의 전개 과정을 날짜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월 15일, 전국 각 투표소에서 3인조, 5인조, 9인조 동행 감시 투표와 대리 투표 등 갖가지 조직적 부정 선거가 노골적으로 진행되자 광주와 마산에서 투표 참관을 포기하고 맨 먼저 저항하였다. 이날 낮 12시 45분 광주시에서의 첫 저항이 금남로 ‘곡(哭) 민주주의 장송’ 봉기이고, 이어 마산에서는 김주열 군이 경찰의 체루탄에 맞아 절명하고, 이에 항의한 5명이 경찰 발포로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에 촉발된 것이 마산 3.15 제1차 시민 봉기이다.

4월 11일, 마산 제1차 3.15 시민 봉기 때 경찰에 의해 행방불명으로 처리된 김주열 군이 27일 만인 이날 오전 10시 30분 마산 앞 바다에 눈에 체류탄이 박힌 시체로 떠오르자 이에 분노한 마산 시민들이 봉기를 일으켰다. 이것이 3일 동안 계속된 마산 제2차 시민 봉기이다. 제2차 봉기에서 또 7명이 경찰의 총에 맞아 숨지고 1·2차 봉기를 통해 850여 명이 부상을 당하였다.

4월 18일, 고려대생 3,500여 명은 ‘광주·마산 3.15 사건의 책임자 처벌’을 외치며 가두시위를 벌였다. 학생들이 귀교하던 중 자유당 조직깡패들의 기습을 받아 50여 명이 부상을 당하는 집단 유혈사태가 발생하였다. 이 사태는 4.19 총 궐기의 기폭제가 되었다.

4월 19일, 전날 고려대생들의 집단 유혈사태가 전국적으로 알려지자 서울을 비롯 마산, 부산, 광주 등을 필두로 청주, 대구, 대전, 인천, 춘천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독재에 대한 국민의 격분이 일거에 폭발하였다. 그러나 독재 세력들은 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 등 5대 도시에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시위대를 향해 무차별한 총격을 가함으로써 수많은 사상자를 내었다. 이날 야당 소속의 장면 부통령은 “독재를 계속하는 이승만 정부에게 경종을 울리고, 자유, 민주의 정신을 소생시키기 위해 부통령직을 떠나 민주 투쟁의 전열에서 국민들과 더불어 최후 승리의 날까지 분투할 것”이라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부통령직을 사임하였다.

4월 24일, 위기를 느낀 자유당 정권은 부통령에 당선된 이기붕을 사퇴시킴과 함께 모든 공직에서 물러나게 하고, 대통령 이승만은 자유당 총재직을 사임하는 것으로 사태를 무마하려 하였다.

4월 25일, 폭압 정권의 무자비한 시위 진압으로 제자들의 희생이 더 커질 것을 우려한 전국 대학교수단 300여 명은 “학생 피에 보답하라!”고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이에 합세한 시위의 불길은 더욱 거세게 타올랐지만, 이날도 잔인한 총구 앞에 수많은 희생자들이 속출하였다.

4월 26일, 전 국민의 궐기가 연일 확산되어 가자 이승만 대통령은 마침내 하야 성명을 발표하였다. 대톨령이 국민들에게 굴복함으로써 12년 독재 정권은 막을 내리고 민권이 승리한 날로 마감되었다.

42일간의 독재에 맞선 전국적 투쟁에서 186명[서울 136명, 부산/마산 23명, 광주 8명]의 고귀한 생명이 목숨을 잃었고, 6,400여 명의 중·경상자가 발생하였다.

[4·19 통일운동과 광주]

4·19혁명의 목표는 독재 타도뿐만 아니라 민족 통일에도 방점을 두었다. 이것은 이승만 독재 정권이 남북 분단을 고착화시키는 것을 막아 민주주의와 통일을 이루자는 것이었다. 그동안 민주주의는 여러 과정을 통해 발전되어 왔지만 4·19 통일 운동은 당시 정권이 과도하게 추진하였던 반공법으로 용공에 몰려 묻혀버리기도 하였다.

2012년부터 광주에서는 광주 3·15의거로 비롯된 4·19혁명의 역사를 바로잡아 시대정신으로 다시 세우고, 이를 ‘4·19 제2통일운동’으로 승화시켜 통일과 평화로 매진하고 있다. 그 실천 방법으로 국내외에 걸쳐 ‘4·19 제2통일운동-3000만 서명' 운동을 펼치고 있다. 먼저 '1000만'이 되면 그 명단을 한반도 각 지역의 돌로 쌓을 무등산 4·19 통일탑에 보관하고, 통일되는 날 세계평화의 타임캡슐을 국민 모두가 함께 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2011년 4월 호남4·19혁명단체총연합회가 발족되었다. 여기서 파생된 4·19통일의병대가 광주 3.15 현장인 금남로 공원에서 ‘금남로에서 평양까지 통일대로를 활짝 열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광주를 비롯 서울·부산·대구·대전과 미국·일본·중국 등에서 서명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모든 운동 역시 4·19혁명의 첫 시발점이 되었던 광주에서 시작하게 된 것이다.

[4·19혁명 올바른 전개 과정의 관건]

한국의 근현대사를 되돌아보면 바로 잡고 새롭게 조명해야 할 사실들이 많다. 그 중에서 먼저 바로 잡아야 할 역사가 4·19혁명이다. 4·19혁명은 5.16군사정변 이후 당시 집권한 군부 정치 세력에 의해 그 정치적 의미가 축소, 왜곡되었다. 4·19혁명의 뿌리조차 3.15의거를 별개의 사건처럼 갈라놓았다. 5.16군사정변의 군부 세력은 정권의 정당화를 위해 제2공화국의 실정과 혼란을 부각시키고 제2공화국을 태동시킨 4.19혁명의 위상과 비중을 격하시켰다. 심지어는 4.19혁명을 5·16군사정변의 예비적 사건으로까지 견강부회(牽强附會)하였다. 이렇게 폄하된 평가는 제3공화국 유신시절을 거쳐 제5공화국과 제6공화국 노태우 정권 시절까지 30여 년간 지속되었다. 김영삼 정권 때에서야 4·19혁명은 비로소 혁명으로 복원되었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 피해를 가장 크게 당하고 있었던 것이 광주 3·15의거이다.

그동안 4·19혁명은 전개 과정에서 잘못 표기되어 왔다. 4·19혁명사에서 왜곡 지점은 바로 광주 3.15 금남로 ‘곡(哭) 민주주의 장송’ 시민 봉기를 빠트린 것에 있다. 그래서 현재 4.19혁명은 시작이 없는 사건처럼 되어 있다. 4·19혁명의 시작은 광주 금남로에서 비롯되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바로 3·15 부정선거를 처음으로 규탄했던 광주 봉기가 4·19혁명의 첫 봉화(烽火)이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