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매헌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86
한자 梅軒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72년연표보기 - 『매헌유고』 간행
성격 문집
저자 송인휴
권책 3권 1책 중 1권
행자 12행 20자
규격 28.0×19.4㎝[전체 크기]|20.0×14.2㎝[반곽]
권수제 여산송씨세고

[정의]

조선 후기 전라도 나주 출신 송인휴의 문집.

[저자]

송인휴(宋寅休)[1777~1854]의 자는 성윤(聖允), 호는 매헌(梅軒)으로 본관은 여산(礪山)이다. 1777년(정조 1)에 전라도 나주[지금의 광산] 매동리에서 출생하였다. 부친은 송상철이고 생부는 송상정이다. 양모는 광산김씨(光山金氏)로 김징봉의 딸이고 생모는 전의이씨(全義李氏)로 이명후의 딸이다. 배움의 길에 들어서는 공부하는 과정에서 독려를 번거로워 하지 않고 스스로 열심히 하였다. 커서는 공령의 학문은 위인지학(爲人之學)이지, 위기지학(爲己之學)이 아니므로 합격하더라도 큰 인물이 될 수 없고 그렇지 않으면 젊은 날에는 시나 짓고 늙어서는 농묵이나 할 따름으로 생각하여 부모가 돌아가시자 거업을 폐하였다. 1854년(철종 5)에 7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고, 묘소는 조산성농상 해좌원에 있다.

[편찬/간행 경위]

『매헌유고(梅軒遺稿)』는 1972년 3권 1책의 석인본으로 발간된 『여산송씨세고』 중 권1에 수록되어 있다. 『매헌유고』는 1972년에 『여산송씨세고』 중 권1로 간행되었다.

[형태/서지]

『매헌유고』는 3권 1책의 석인본으로 발간된 『여산송씨세고』 중 권1이다.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전체 크기는 28.0×19.4㎝, 반곽은 20.0×14.2㎝이며, 행마다 경계가 있다. 행자수는 12행 20자로,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구성/내용]

『매헌유고』는 『여산송씨세고』 3권 1책 중 권1에 수록되어 있다. 1권에는 7언절구 5수, 7언율시 2수와 7편의 서간문 외에 부록으로 박주현이 지은 만사 1수, 김종규가 지은 매헌기, 증손 송준이 찬한 가장, 최윤환이 찬한 묘갈명이 있다.

[의의와 평가]

『매헌유고』는 조선 후기 전라도 광산[광주광역시의 옛 지명] 지역에서 활동한 송인휴의 학문과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도서관(http://lib.jnu.ac.kr)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memoryhonam.j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