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백하유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85
한자 柏下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48년연표보기 - 『백하유고』 간행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성격 시문집
저자 양상형
권책 6권 3책
행자 10행 22자
규격 27.5×18.5㎝[전체 크기]|20.5×14.5㎝[반곽]
어미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
권수제 백하유고(柏下遺稿)
판심제 백하유고(柏下遺稿)

[정의]

조선 후기부터 근대 개항기의 유학자 양상형의 시문집.

[저자]

양상형(梁相衡)[1833~1907]의 자는 자평(子平), 호는 백하(柏下), 본관은 제주(濟州)이다. 1833년(순조 33) 5월 25일에 나주 박산리[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에서 출생하였다. 7세에 부친 양찬영(梁纘永)에게 수학하였고 노사 기정진 선생을 찾아가 수학하였다. 1907년에 세상을 떠났으며, 용기치(龍起峙)에 장사지냈다.

[편찬/간행 경위]

『백하유고(柏下遺稿)』는 이광수(李光秀)가 서문을, 양하묵(梁夏墨)이 발문을, 오후석이 행장, 정인보가 묘갈명을 작성하여 1948년에 간행되었다.

[형태/서지]

『백하유고』는 6권 3책의 석인본이다. 판식은 사주단변으로 전체 크기는 27.5×18.5㎝이고 반곽은 20.5×14.5㎝이다. 행자수는 10행 22자로, 행마다 경계가 있다.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구성/내용]

『백하유고』 권1에는 오언절구 13편, 칠언절구 22편, 권2에는 오언사율 18편, 칠언사율 135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사언율시 48편, 오언고시 14편, 칠언고시 7편, 권4에는 서(書) 17편과 기(記)·문(文)·제문(祭文)·상량문(上樑文) 등이 여러 편 수록되어 있다. 권5에는 잡저(雜著)·가장(家狀)·행장(行狀), 권6에는 행장·부록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백하유고』는 양상형의 학문과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memoryhonam.j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