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서초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84
한자 瑞樵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41년연표보기 - 『서초유고』 간행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소장처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연희동 25]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시문집
저자 이희석
권책 2권 1책
행자 11행 24자
규격 28.1×19.3㎝[전체 크기]|20.5×15.0㎝[반곽]
어미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

[정의]

조선 후기 학자 이희석의 시문집.

[저자]

이희석(李熙奭)[1820~1883]의 자는 주보(周輔), 호는 서초(瑞樵)로 서산초부(瑞山樵夫)에서 따온 것이다. 휘는 희석(熙奭)으로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전라도 광주목 쌍류촌(雙柳村)에서 출생하였다. 2세에 대방용강 신기리(新基里)로 이사하였으며, 5세에 학문을 배우기 시작하여 7세에 소학 대의에 능통하고 송감강목(宋監綱目)의 구절을 능숙하게 읽었다. 13세에 백가과조 6체(百家科條 6體)를 꿰뚫어 명성이 자자하였다. 임종하기 전 자손들에게 학문이 이루어지지 않아 몹시 걱정된다면서 선세가훈(先世家訓)을 남겼다.

[편찬/간행 경위]

『서초유고(瑞樵遺稿)』는 전라북도 장수에서 1941년에 김택술(金澤述)의 서와 증손 한수(漢秀)의 서후를 붙여 간행되었다.

[형태/서지]

『서초유고』는 2권 1책이다. 판식은 사주단변으로 전체 크기는 28.1×19.3㎝이고 반곽은 20.5×15.0㎝이다. 행자수는 11행 24자로 주쌍행이며, 행마다 경계가 있고 어미는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이다.

[구성/내용]

『서초유고』는 오언절구, 오언배율, 육언절구, 저자가 살고 있는 곳의 경치를 노래한 「교장수장안동영팔경(僑長水長安洞詠八景)」 등의 칠언절구와 칠언사율로 된 시, 만사(輓辭), 만동묘소(萬東廟疎), 「삼정책(三政策)」, 「경복궁중건부(景福宮重建賦)」, 서, 「죽석헌기(竹石軒記)」, 상량문(上樑文), 축문(祝文), 제문(祭文), 장(狀), 명(銘)과 부록은 송사 기우만이 찬한 행장(行狀), 이병은이 찬한 묘갈명(墓碣銘), 만사(輓辭), 발문(跋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서초유고』는 조선 후기 전라도 광주 지역에서 활동한 이희석의 학문과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https://library.yonsei.ac.kr)
  • 전남대학교도서관(http://lib.jnu.ac.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memoryhonam.j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