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취강유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75
한자 翠岡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91년연표보기 - 『취강유고』 간행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문집
저자 범윤중
간행자 범대순
권책 1책 60장
행자 469쪽
규격 23㎝

[정의]

전라도 광주 출신 범윤중의 시문집.

[저자]

범윤중(范潤中)[1883~1951]의 자는 학노(學魯), 호는 취강(翠崗), 본관은 금성이다. 전라도 광주 생룡에서 출생하였다. 젊어서 학동들에게 학문을 가르쳤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지방관리를 맡기도 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취강유고(翠岡遺稿)』는 1991년에 범윤중의 아들 범대순이 번역본과 함께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취강유고』의 분량은 469쪽이고, 크기는 23㎝이다.

[구성/내용]

『취강유고』는 순서에 따라 기록되어 있으나 정서하지 않아서 수정한 곳이 그대로 남아 있다. 1920년대를 전후로 한 40세 이후의 작품과 1930년대의 작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작품 내용은 강호한정과 일제 강점기의 민중들의 애환, 은둔, 그리고 회고 등이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일제 강점기 말 한국 농촌의 실상을 그린 시로, 「영사(詠事)」, 「동중낭사(冬中郎事)」, 「대공출유감(對供出有感)」 등이 있다. 광복 이후 김구 선생에 관한 시로, 「문김구선생남순강연이구어진표(聞金九先生南巡講演以句語陳表)」, 「차백범김구선생만(次白凡金九先生挽)」 등이 있다. 이 시에는 한말 유학자들의 정치의식과 세계관이 담겨 있다. 또한 특이한 것은 우인(友人)들과 시계(詩契)를 만들어 작품을 많이 지었다는 것이다.

[의의와 평가]

『취강유고』는 한말 유학자들의 정치의식과 세계관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 전남대학교도서관(http://lib.jnu.ac.kr)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memoryhonam.j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