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전은사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71
한자 田隱私稿
이칭/별칭 전은사고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59년연표보기 - 『전은사고』 간행
성격 문집
저자 최승모
간행자 최동균
권책 3권 1책
행자 12행 25자
규격 29.2×19.6㎝[전체 크기]|22.1×15.9㎝[반곽]
어미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和文魚尾)

[정의]

전라도 광주 출신 근대 유학자 최승모의 문집.

[저자]

최승모(崔勝模)[1868~1949]의 자는 성언(成彦), 호는 전은(田隱),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전라도 광주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성재(性齋) 최순후(崔順厚),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이다. 후석(後石) 오준선(吳駿善)[1851~1931],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1846~1916],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910], 석전(石田) 이병수(李炳壽)[1855~1941] 등에게 수학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전은사고(田隱私稿)』는 최승모의 손자 최동균(崔東均)이 유문을 수집하여 김문옥(金文玉)에게 서문, 정창진(鄭昌鎭)의 발문을 받아 1959년에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전은사고』는 3권 1책의 석인본이다.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전체 크기는 29.2×19.6㎝, 반곽은 22.1×15.9㎝이다. 행마다 경계가 있고, 행자수는 12행 25자이며,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和文魚尾)이다.

[구성/내용]

『전은사고』의 권1은 「알집성사(謁集成祠)」, 「차집성사운(次集成祠韻)」 등의 시로 구성되어 있고, 권2는 서(書), 혼서(婚書)·서(序)·가술(家述), 권3은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전은사고』에는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1833~1906]에게 올리는 글, 최승모가 의병에 동참하지 못함을 읊은 시, 죽음을 애도하는 시가 실려 있어 혼란하였던 나라에 대한 걱정과 사랑을 느낄 수 있다. 이외 여러 글을 통하여 당대를 바라보는 지식인의 인식과 학문적 이해도를 알 수 있어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광주권문집해제』(광주직할시, 1992)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