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사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30
한자 晴沙集
영어공식명칭 Cheongsajip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백지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680년연표보기 - 『청사집』 간행
간행 시기/일시 1978년 - 『청사집』 재간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소장처 전남대학교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33[용봉동 300]지도보기
성격 시문집
저자 고용후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31×20㎝

[정의]

조선 시대 문신이자 의병장 고용후의 시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시문집.

[저자]

고용후(高用厚)[1577~1648]는 본관은 장흥(長興)이고, 자는 선행(善行), 호는 청사(晴沙)이다.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막내아들로, 두 형도 아버지를 따라 의병 활동 중 전사하였다. 1605년(선조 38)에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06년(선조 39)에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예조좌랑이 되었다. 그 뒤 병조좌랑·병조정랑을 거쳐 1616년(광해군 8)에 남원부사가 되었으며, 1624년(인조 1)에 고성군수를 지냈다. 1631년(인조 8)에 동지사로 중국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판결사(判決事)를 끝으로 관직에서 은퇴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청사집(晴沙集)』은 1680년(숙종 6)에 간행된 시문집이다. 서(序)는 서광계(徐光啓), 김수항(金壽恒)이 썼다. 이후 1978년 재간(再刊)된 청사집은 청사(晴沙)의 10대손 고광은(高光殷)과 12대손 고재철(高載喆)이 서(序)를 썼고 발문(跋文)은 12세손 고재근(高在根)이 썼다.

[형태/서지]

『청사집』은 2권 1책의 목판본으로, 전남대학교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청사집』은 권두에 서광계(徐光啓)·김수항(金壽恒)의 서문이 있다. 권1~2에 시 285수, 제문 12편, 행장 1편, 소(疏) 4편, 전(箋) 3편, 장(狀) 3편, 서(書) 12편, 설(說) 1편, 서(序) 2편, 발문 2편, 기(記)·교서·전(傳)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청사집』은 학문이 깊고 의병 활동으로 공을 세웠던 고용후의 학문과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광주권문집해제』(광주직할시, 1992)
  •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s://kyu.s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