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백야당문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23
한자 白野堂文集
영어공식명칭 Baegyadangmunjip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백지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899년 - 『백야당문집』 편찬
간행 시기/일시 1926년연표보기 - 『백야당문집』 간행
소장처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 460[신용동 344-2]
성격 시문집
저자 박광원
편자 박언동|박신동
간행자 박제유
권책 4권 2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1.1×14.8㎝
어미 상하향삼엽화문어미(上下向三葉花紋魚尾)

[정의]

조선 후기 전라도 광주에서 출생한 문인 박광원의 시문집.

[저자]

박광원(朴光元)[1659~1741]의 자는 사선(士善)이며, 호는 백야당(白野堂)이다. 본관은 순천(順天)이다. 1659년에 전라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송시열에게 사사한 후 1699년에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1712년에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을 비롯하여 강릉진랑(康陵震郞), 종묘봉사(宗廟奉事) 등을 지냈다. 1720년에 금부도사(禁府都事)의 벼슬에 있다가 신임사화(辛壬士禍)를 당하여 벼슬을 버리고 귀향하였다. 인조반정 후 복직하여 형조정랑(刑曹吏曹)에 이르렀다. 권상하(權尙夏)·이희조(李喜朝) 등과 왕래하여 의리(義理)를 강론(講論)하고 경학(經學)을 토론하였다. 만년에 전라도 장성(長城) 녹동(鹿洞)에 살면서 성리학을 연구하다가 83세에 생을 마감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백야당문집(白野堂文集)』은 후손 박언동(朴彦東)과 박신동(朴信東)이 1899년에 문집을 편찬하였으며, 1926년에 5대손 박제유(朴濟裕)가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백야당문집』은 4권 2책의 목활자본이다.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백야당문집』은 권두에 송시열(宋采熙)의 서(序)가 있고, 권1~2는 시(詩) 294수, 권3에는 소(疏) 4수, 서(書) 8수, 권4에는 서(序) 3수가 수록되어 있다. 부록에는 백야일기(白野堂記-遜齋所記)와 행장(行狀), 묘표(墓表) 등이 실려 있고, 끝에 김병운(金炳雲)과 기우만(奇宇萬)의 발(跋)이 있다.

[의의와 평가]

『백야당문집』박상현박광일, 박광원으로 이어지는 광주의 순천박씨나 호남 지역의 노론의 동향, 학문적 특색 및 신임사화(辛壬士禍) 등을 연구하는 데 참고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광주권문집해제』(광주직할시, 199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