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충효동의 금다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502
한자 忠孝洞-金-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기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9년 - 「충효동의 금다리」 광주직할시 북구 충효동 주민 김종영에게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0년 - 「충효동의 금다리」 광주직할시에서 간행한 『광주의 전설』에 「금다리」로 수록
관련 지명 식영정 -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59[지곡리 333]
채록지 충효동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지도보기
성격 설화|지명전설
주요 등장 인물 김윤제
모티프 유형 지명의 유래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에서 전해 오는 금다리에 관한 이야기.

[개설]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의 동림마을과 담양군 남면의 지실마을 사이를 연결하는 금다리가 있다. 이 다리는 23m 정도의 시멘트로 만든 다리이고, 그 밑에는 금다리보라고 하는 조그만 보가 있다. 이 금다리와 금다리보의 이름에 관한 유래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주민 김종영에게 채록하여 1990년에 광주직할시에서 간행한 『광주의 전설』에 「금다리」로 수록되어 있다.

[내용]

충장공(忠壯公) 김덕령(金德齡)[1568~1596]의 작은 외할아버지인 사촌공(沙村公) 김윤제(金允悌)[1501~1572]는 북촌에서 부자로 살고 있었다. 건너편 지실에 있는 식영정을 자주 다녔는데, 다리가 없어서 물을 건너거나 작은 징검다리로 다녀야 했다. 고민 끝에 큰 돈을 들여 돌다리를 만들고 버선발로 걸어 다닐 정도로 돌을 다듬어 놓았다. 그런데 김윤제가 돈이 많아 황금으로 다리를 만들어 놓고 걸어 다닌다는 소문이 조정에까지 퍼졌다. 누군가 시기하는 사람이 헛소문을 퍼트린 것이었다. 조정에서 내려와 살펴보니 소문과는 달랐다. 그러나 김윤제는 다리를 헐고 그 돌들로 강남보를 만들어 농민들이 가뭄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만들었다. 그래서 금다리는 다시 작은 징검다리가 되었고, 강남보는 금다리보라 부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충효동의 금다리」의 주요 모티프는 ‘지명의 유래’이다. 돌로 만든 다리와 보를 금다리와 금다리보라 부르게 된 유래에 관한 이야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