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지렁이의 아들 견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495
한자 -甄萱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기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281년 - 「지렁이의 아들 견훤」 『삼국유사』제2권 기이(紀異) 제2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8년 - 「지렁이의 아들 견훤」 『무등산』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0년 - 「지렁이의 아들 견훤」 『광주의 전설』에 수록
성격 설화|야래자 설화|건국 시조 설화
주요 등장 인물 견훤의 어머니|지렁이
모티프 유형 야래자 설화|건국 시조의 탄생|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견훤의 탄생에 관한 이야기.

[개설]

「지렁이의 아들 견훤」후백제 건국 시조 견훤의 탄생담이다. 견훤의 어머니가 처녀일 때 매일 밤마다 자줏빛 옷을 입은 남자가 찾아왔다. 후에 아이를 낳았는데, 이 아이가 후백제를 세운 견훤이라고 한다.

[채록/수집 상황]

1988년에 삼화문화사에서 간행한 『무등산』에 수록되어 있다.

1990년에 광주직할시에서 간행한 『광주의 전설』에 「지렁이의 아들 견훤」으로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전라도 광주의 북쪽 마을에 살던 한 부자에게 아름다운 딸이 하나 있었다. 어느 날 밤에 자줏빛 옷을 입은 남자가 이 처녀의 방에 찾아왔다. 이 남자가 날마다 찾아와서 관계를 맺고 가자 처녀의 걱정이 깊어갔다. 이 말을 들은 처녀의 아버지는 남자의 옷에 긴 실을 바늘에 꿰어 놓으라고 했다. 다음 날 바늘에 꿰어 놓은 실을 따라 가보니 담 밑 큰 구멍에 도착했다. 큰 지렁이 한 마리가 바늘에 찔린 채 구멍 속에서 죽어 있었다. 그 뒤에 부자의 딸은 태기가 있어 아이를 낳았다. 비범한 체격의 이 아이가 바로 후백제를 세운 견훤이었다.

[모티프 분석]

「지렁이의 아들 견훤」의 주요 모티프는 ‘야래자 설화’, ‘건국 시조의 탄생’ 등이다. ‘야래자 설화’는 남자로 변한 이물(異物)이 밤에 여성을 찾아와 관계를 맺고, 이로 인해서 낳은 아이가 후에 큰 인물이 된다는 설화이다. 이러한 모티프의 설화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동북아에서도 송(宋) 태조나 청(淸) 태조 등 건국 시조의 탄생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견훤 이외에도 ‘최치원의 탄생담’ 등 역사적 인물의 탄생담에도 활용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