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수완동 신완 기우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429
한자 水莞洞新莞-祈雨祭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혜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중단 시기/일시 1976년 - 수완동 신완 기우제 중단
의례 장소 무젯등 - 광주광역시 광산구 원당산 봉우리지도보기
성격 동제
의례 시기/일시 가뭄이 들어 비가 내리지 않을 때
신당/신체 원당산 무젯등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에 있었던 신완마을에서 가물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지냈던 제사.

[개설]

신완마을에서는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심하면 기우제(祈雨祭)를 행하였다. 마을에서 택일한 날 밤에 지내었으며, 남자들만 제사에 참여하였다. 만약, 영험한 원당산에 누군가 묘를 써서 비가 오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여자들이 먼저 산에 올라 파묘(破墓)를 하고 나서 제사를 지냈다.

[신당/신체의 형태]

수완동 신완 기우제는 원당산 봉우리인 무젯등에 올라 제상을 차리고 지냈다.

[절차]

수완동 신완 기우제의 제관은 삼헌[초헌·아헌·종헌], 유사, 축관, 집사 6명으로 구성하며, 마을 회의에서 깨끗한 사람으로 선정하였다. 유사로 선정되면 기우제가 끝날 때까지 목욕재계를 하면서 몸을 청결히 해야 했다. 제사 비용은 호구전(戶口錢)으로 충당하였으며, 제물은 송정읍장 또는 송정리장[송정5일시장]이나 비아장[비아5일시장]에서 유사가 구입을 하여 무젯등에서 준비하였다.

제물은 주로 돼지 또는 돼지머리, 삼실과, 마른명태, 떡시루 등을 올렸다. 제상(祭床)에 올리는 돼지는 털만 벗긴 날것을 올렸다. 제물이 준비되면 남자들은 밤에 무젯등에 오른다. 제의 순서는 유교식 제의 절차에 따라 강신, 제물의 진설, 초헌, 독축, 아헌, 종헌, 소지, 음복의 순서이다. 음복이 끝난 다음 헌식을 한다. 헌식은 제상의 음식 일부와 돼지머리를 흙무더기에 묻는 것을 말한다. 제사를 지낸 뒤 남자들은 왼쪽 바지를 걷어 올리고 소변을 누었다.

[현황]

수완동 신완 기우제는 장성댐이 준공된 1976년 이후 중단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