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468
한자 光州美術文化硏究所
이칭/별칭 광주미연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로 19-7[동명동 200-22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은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99년연표보기 -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설립
최초 설립지 광주미술문화연구소 -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 오형근성형외과 4층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광주미술문화연구소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민주로 104[쌍촌동 1337-3]지도보기
현 소재지 광주미술문화연구소 -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로 19-7[동명동 200-224]지도보기
성격 문화예술 단체
홈페이지 http://www.gwangjuart.com/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에 있는 미술 문화 연구 단체.

[개설]

광주미술문화연구소(약칭 광주미연)는 광주·전남 지역의 미술 문화 전통과 현재의 창작활동에 대한 자료조사, 연구, 미술사 정리, 비평, 정보공유를 위해 설립된 비영리 연구소이다.

[설립 목적]

광주·전남 지역의 미술 관련 주요 자료와 정보에 대한 조사·연구, 비평, 문헌 정리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광주미술문화연구소는 한국미술과 관련된 미술 문화계의 주요 활동과 흐름을 공유하는 데에도 앞장섬으로써 더 나은 가치를 만들어 가고자 한다.

[변천]

1999년 3월에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 오형근성형외과 4층에 처음 개설되었다. 초창기 오프라인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던 연구소는 1999년 말 사무소를 닫고, 운영하던 온라인 카페(http://user.chollian.net/~kjaci)를 보완한 뒤 2004년 1월 웹사이트(www.namdoart.net)를 재구축하여 운영하였다. 2013년 2월 웹사이트 주소를 변경하여 운영 중이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광주미술문화연구소는 웹사이트를 통해 선사시대문화, 고분문화, 도자기문화, 불교문화, 민속문화 등 남도의 곳곳에서 만날 수 있는 문화재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선비문화와 호남의 남종화, 근대 이후 서양미술의 형식과 남도의 정서를 조화시킨 서양화단과 조각계 소식, 광주비엔날레 창설 이후 새롭게 변화된 미술 문화계 등 광주전남미술의 큰 흐름을 따라 자료와 정보들을 간추려 공유하고 있다.

한편, 광주 지역의 미술사, 미술 단체에 관한 자료 수집과 설문 조사 및 발표, 연구원들의 월례 토론회, 월간 『광주미연』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현황]

조인호 대표를 포함하여 윤정현, 김정삼, 김병헌, 고영재, 오병희, 김허경, 문희영이 연구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1999년 개설 이래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광주·전남 지역 미술 문화와 관련된 자료조사와 연구, 정보 제공을 통해 남도 미술을 알리는 첨병의 역할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