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사료산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48
한자 飼料産業
영어공식명칭 Feed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사료의 생산, 가공, 유통에 관련된 산업.

[개설]

우리나라의 사료 공급은 1956년부터 1960년까지는 전후 복구가 활발해지고 주한 UN군에 계란 군납이 늘어나면서 양계 규모의 확대로 농가 부산물과 양곡 가공부산물에 의한 자가 배합 정도로 이용되었다. 1961년 전국적으로 사료 공장은 7개소였는데, 광주시도 농가 부산물 및 양곡 부산물들을 이용하였다.

[현황]

사료 생산 실적을 살펴보면, 1980년~1982년에는 배합 사료를 생산하지 못하다가 1982년에 3만 8155M/T으로 증가하였으며, 1992년에는 12만 8056M/T으로 배합 사료의 생산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배합 사료의 용도별 구성비는 1971년 양계용 57%, 양돈용 35%, 축우용 8%를 차지하여 절반 이상이 양계용 사료였으나, 축종 사육두수의 변동으로 1982년에는 양계용 22.6%, 양돈용 14.6%, 축우용 62.8%가 생산되어 축우용 사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1992년에는 축우용 52.3%, 양돈용 29.4%, 양계용 18.3%순으로 양계용 사료의 비율이 감소하였던 반면 양돈용 및 축우용 사료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전국 배합 사료 생산 실적에 비교하면 양계용은 약 0.6%, 양돈용은 0.8%, 축우용은 1.5%를 생산하고 있어 생산량에 있어서 미진한 상태이지만 광주광역시의 사육두수 감소로 광주광역시 근교 지역 양축가들에게 사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구청별 생산 실적은 북구에서 총 12만 2522M/T을 생산하고 있으며, 광산구에서는 5,984M/T의 사료를 생산하고 있다.

2021년 광주광역시의 사료 제조업체 및 사료 수입업체 수는 총 127개사로, 100개사는 사료 제조업을, 27개사는 사료 수입업을 운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