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낙농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47
한자 酪農業
영어공식명칭 Dairy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젖소나 양, 염소 등을 사육하여 우유를 생산하거나, 우유를 원료로 하여 유제품을 제조하는 산업.

[개설]

광주광역시의 원유 생산량은 유우와 함께 증가하여 왔는데, 이는 낙농 진흥 정책과 낙농 기술 향상, 두당 산유량의 증가 등으로 인해 크게 증가한 것이었다. 그러나 1986년부터 우유의 과잉 생산에 따른 분유 재고량이 증가되었고 우유 소비가 둔화되었다. 그래서 광주광역시에서는 우유 소비층의 저변 확대 및 학교 아동들의 체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학교 급식을 실시, 1988년에 초중고교 175개교 연인원 2734만 1815명에 대하여 학교 급식을 실시하였다.

[현황]

광주광역시의 원유 생산량은 1987년 1만 2269M/T[메트릭톤, Metric Ton]에서 1992년 8,830M/T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광주광역시의 도시화에 의해 유우 사육 두수가 감소함으로써 원유 생산량도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원유 처리 공장 현황을 살펴보면 광주광역시는 유처리 가공장이 북구 양산동 소재 호남유업, 서구 송하동 소재 광주전남 우유협동조합, 광산구 운수동 소재 매일유업 호남공장 3개소가 있다. 그 처리 능력은 각각 40, 20, 128톤이며 집유 능력은 하루 각각 92, 24, 200톤으로 시유, 발효유, 가공유 등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연도별 가공장 및 집유장 현황은 1986년 2개소의 가공장에서 1987년 3개 가공장으로 증가하였으며, 1일 처리 능력은 1986년 68톤에서 1992년 188톤으로 2.76배 증가하였고, 집유량은 83톤에서 316톤으로 증가하였다. 전국 현황과 비교하였을 때 집유량은 316톤으로 3.8%를 차지하고 있으며, 처리 능력도 1일 188톤으로 3.8%를 차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젖소는 전체 가축농가 수 224두수 대비 7두수이며, 전체 가축 9만 2676두수 대비 642두수를 보유 중이다.

[참고문헌]
  • 『광주시사』3(광주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5)
  • 광주광역시(https://www.gwangju.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