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곡물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44
한자 穀物商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여러 곡물을 매매하는 장사나 가게.

[개설]

광주광역시는 전체 농가 인구 가운데 69.4%가 농업에 취업하고 있으며, 이는 광주광역시 총 경제활동인구의 9.6%에 해당하는 비율로, 전국의 농림수산업 취업률보다는 낮다. 또한 전국 평균 광공업 근로자 비율이 26.9%인데 반해 광주광역시는 20.2%로 6.7%나 낮은 반면, 3차 산업에의 취업자는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결국 지역 내의 산업구조상 광주광역시의 농업 노동력은 3차 산업과의 경쟁이며, 이농과 탈농 인구가 3차 산업으로 이동하고 있다.

[시장 총괄]

농산물이 유통되는 과정은 곡물은 협동조합, 곡물상, 5일시장 등을 통하여 거래가 이루어지고, 과실류는 농산물도매시장이나 원협공판장을 통해서 거래를 하며, 축산부류는 주변 식당, 가축시장, 축협공판장 등을 통하여 거래가 이루어진다. 광주광역시 내에 있는 시장은 상설시장이 29개, 정기시장이 2개, 백화점이 5개로 총 36개의 업체가 있다. 대지 면적은 총 14만 6684㎡로 상설시장 11만 8350㎡, 정기시장 2만 2370㎡, 백화점 5,964㎡를 이루고 있다. 건물 연면적은 총 12만 8100㎡로 상설시장 10만 3284㎡, 정기시장 5,143㎡, 백화점 1만 9673㎡이다. 대장 면적은 총 9만 5848㎡로 상설시장 7만 7771㎡, 정기시장 5,143㎡, 백화점 1만 2934㎡이다. 점포 수는 총 4,195개로 상설시장 3,153개, 정기시장 571개, 백화점 471개이다. 종업원 수는 총 6,452명으로 상설시장 4,179명, 정기시장 1,142명, 백화점 1,131명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