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기계기구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34
한자 機械器具業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일반적으로 발전(發電)에서부터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동력, 열, 빛 등으로 사용하기까지의 전기기계나 기구를 제조하는 업종.

[개설]

전기기계기구를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전기기계로의 분류에는 회전기계[발전기, 전동기 등], 정지(靜止)기[변압기, 용접기, 콘덴서, 내전압시험기 등]가 있으며, 배선기구로의 분류에는 누전차단기, 밴선용차단기, 커버 나이프 스위치, 퓨즈, 플러그, 콘센트 등이 있다. 조명기구로의 분류에는 백열전등, 형광전등, 전압수은등 등이 있으며, 계측기구로의 분류에는 회로계, 전열저항계, 접지저항측정기 등이 있다. 또한 제어기로의 분류에는 교류아크 용접기용 자동전격 방지장치 등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통신기기, 전자기기 등이 기타 분류에 속한다. 통계청의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는 기계기구업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황]

기계공업은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대종을 이루는 산업이다. 기계공업은 농업기계와 산업기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농기계 제조업체는 179개로 1960년대에 비해 그다지 큰 증가를 보이지 않으나 생산액에 있어서는 1971년의 약 5.5억 원에서 1973년에 14.3억 원으로 크게 증가하여 발전하고 있다. 전라남도나 광주광역시에서는 자료의 빈곤으로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는 없으나 매우 부진한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전라남도의 산업 중에서는 농업의 비중이 가장 크고 앞으로도 농기계의 수요가 많을 것을 감안하면 광주광역시에서의 농기계공업의 육성은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광주광역시의 산업은 여전히 농업과의 관련이 많아서 현미기, 농기구 등을 중심으로 이들 부품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산업기계는 금속공작기계, 원동기, 섬유기계, 화학기계 등 그 종류가 많고 또한 종류에 따라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처리하기 어렵다. 그러나 산업도시의 형성을 위하고 기계공업의 육성을 위하여 이의 보호육성은 필요하나 광주광역시의 입지 조건이나 산업도시화 계획에 어느 정도 충족될 것인가의 문제는 과제로 남아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4.27 내용추가 [개설]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내용 추가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