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광산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387
한자 光産業
영어공식명칭 Optical Electronics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차혜진

[정의]

광주광역시가 지역전략산업 진흥 차원에서 첨단과학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산·학·연 기능이 집적화된 국제적인 광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한 산업.

[내용/구성]

광주광역시의 광산업은 활발한 발전을 이끌고 있다. 특히 2020년부터 '광 기반 기술 연계 광융합산업 고도화 사업'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기술 협력,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장비 활용 연계, 전문인력 양성 등을 지원하여 광 분야 기업들의 장기적 발전을 이끌고 있다. 고도화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스마트 특성화 기반 구축 사업'의 지역 특성화 산업 분야이다. 광주광역시가 2020년 4월 공모에 선정되어 2022년까지 총 81억 원[국비 56억 원, 시비 25억 원]을 들여 지역 경쟁력 강화와 균형 발전에 이바지하는 내용이다.

한국광기술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지역 혁신기관과 함께 선도형 광융합제품 생산 경쟁력 확보를 위한 25종의 신규 장비를 구축하거나 업그레이드하고 광융합 전문기업 육성을 위한 시제품 제작, 애로기술 지원, 시험 인증, 인력 양성 등을 추진하는 것이 사업의 핵심이다.

[목적]

광주광역시의 광융합기술의 연구 개발과 성과의 보급 및 국제교류 협력사업을 통하여 광 관련 업계의 유대 강화와 공동 이익을 도모하고, 광융합산업의 종합적인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과 국민 생활의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육성 개요]

지역전략산업 단계별 육성 지원[2000~2012, 8,447억 원]

- 1단계[2000~2003, 4,020억 원]: 인프라 중심의 집적화 단지 조성, 한국광기술원 건립, 광통신부품 시험 시스템 구축, 연구개발 장비 구축 등

- 2단계[2004~2008, 3,863억 원]: 특화 분야[광통신, LED]의 상업화 지원, 반도체광원 시험생산 지원, 광통신부품 시제품 생산 지원, 광부품 시험·인증 기반, 인력 양성, 해외 마케팅 등 18개 사업

- 3단계[2009~2012, 564억 원]: 차세대 광기반 융합산업 육성, 차세대 광기반 인프라 구축, 기술 개발, 글로벌 마케팅, 인력 양성 등 5개 사업

호남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 지원[2009~2015, 1,244억 원]

- 1단계[2009.6~2012.4, 494억 원]: 친환경 광기술 기반 융합부품·소재산업의 선도 및 글로벌화, 24개 과제, 75개 기업·기관 참여, 1단계 프로젝트 평가 결과 전국 최우수등급 성과

- 2단계[2012.5~2015.4, 750억 원]: 대표 주력산업으로 광융복합산업[광부품 및 시스템, 신광원조명], 미래 성장산업으로 태양광[소재] 분야 선정 다양한 광융복합 기술개발 착수

[지원 성과]

광산업은 자동차·가전산업에 이어 지역 3대 주력산업으로 확고한 위상 정립하고 있으며, 연구·지원 인프라 구축 및 기업지원 서비스 강화 등을 통해 국제적 광산업 클러스터로 부상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광산업은 지역산업 육성사업 중 성공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 2004년 5월 감사원 감사 시 4대 지역산업 진흥사업[광주 광, 대구 섬유, 부산 신발, 경남 기계] 중 성공사례로 발표

- 2006년 2월 산업정책연구원과 조선일보가 주관한 2005년 지역산업 정책평가에서 대상 수상

- 2011년 8월 기획재정부가 '지역혁신 클러스터 성공 요인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광주의 광산업 클러스터를 지방에서 발전의 주도권을 갖고 추진한 대표적 성공사례로 평가

- 2011년 9월 '지역발전 주간행사'에서 광산업 클러스터 육성시책의 성공적 추진에 대한 평가로 대상인 대통령상 수상

- 2012년 11월 지역산업 경제발전 효과 분석 결과 지방에서 주도적으로 육성 계획을 수립, 타 지역과 차별화된 산업을 선정해 입지 경쟁을 피하며 정책역량을 집중한 점에 '우수' 평가

[역점 추진정책]

광주광역시 광산업의 역점 추진 정책은 다음과 같다.

- 광 기반 융복합산업 및 광 기반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호남권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을 통해 광응용 센서 및 통신 시스템, 광융합 부품 및 기기, 일반·산업용 조명, 융·복합 조명, 소재 중심 태양광산업 등 광기반 융복합 기술 개발,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광분야 3D 융합산업 육성을 통해 제품 상용화, 기업지원 서비스 강화를 추진한다.

- 광통신, LED 등 주력 분야 고도화: LED 융합산업 허브 구축사업, LED 조명 실증단지 조성·운영, LED 광소자 그랜드 컨소시엄, LED 시스템 조명 기술개발, 지역산업 기반 IT 융합기술 생산지원 기반 구축 등을 추진한다.

- 차세대 유망 분야[초정밀광학, 레이저, OLED 등] 발굴·육성: 적외선 광학렌즈 기술 개발 및 산업화 지원, 야간 투시카메라용 적외선 광학렌즈 칼코겐유리 개발, 산업용 레이저 핵심부품·모듈 기술 지원 기반 구축, OLED 조명 육성사업 등을 추진한다.

- 기업 지원 고도화: 광산업 기술력 향상사업, 현장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국내외 시험·인증 강화 및 지원, 광융복합기술 사업화 지원, 국제광산업 전시회 개최, LED 조명 실증 및 표준화 활동 확대, 광산업 공동브랜드 경쟁력 강화사업 등을 추진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