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386
한자 自動車産業
영어공식명칭 Automobile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차혜진

[정의]

광주광역시 최대 주력 산업으로 완성차 및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제1호 상생형 지역 일자리로 공식 선언된 자동차 관련 '광주형 일자리' 산업.

[내용/구성]

광주광역시에서는 노사민정 사회 대통합형 광주형 일자리의 일환으로 약 1천여 명의 인력 채용, 1만 1000여 명의 간접 고용 효과를 창출하는 사업을 자동차산업을 통해 실현하고 있다. 광주글로벌모터스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 자동차 공장을 착공하였다. 약 60만 4960㎡ 규모의 빛그린국가산업단지 일원에 조성된 자동차공장에서는 경형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을 약 10만 대 생산할 수 있는 라인을 구축하였다. 광주글로벌모터스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 건설된 자동차공장은 본격적인 완성차 양산에 들어갔으며, 생산 차종은 현대자동차의 신규 시장 진출, 시장 수요 분석 등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처음 출시하는 1,000cc급 SUV인 AX1 모델이다.

또한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서는 무인 자율 주행 기술의 언택트 서비스 개발 및 실증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 공모 사업으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10억 원을 투입하여 헬스케어, 무인점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 자율 주행 셔틀의 활용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증하는 내용이다. 이미 광주광역시에서는 전국 최초로 시속 5㎞ 이하로 운전자 없이 자율 주행하며 청소, 폐기물 수거 등 다양한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인 저속특장차 자율 주행이 시작되었다. 빛그린국가산업단지는 부품-인증-완성차 공장에 이르는 일관 체계가 구축되어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미래형 자동차산업의 거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전 및 단계별 목표]

광주광역시 자동차산업의 비전은 '미래 자동차산업 선도를 위한 친환경 스마트카 중심 도시 조성'이다. 비전 달성을 위한 단계별 목표로서, 제1단계[2019~2020]는 미래 자동차산업 기반 구축에 두고 있으며, 세부 목표는 자동차 완성차 공장 설립, 완성차 생산 증대, 글로벌 시장 진출이다. 제2단계[2021~2025]는 미래 자동차산업 활성화에 두고 있으며, 세부 목표는 완성차 생산 증대, 완성차·부품 기업 육성, 일자리 창출이다. 제3단계[2026~]는 미래 자동차산업 확대로 설정하고, 세부 목표는 글로벌 시장 진출, 완성차·부품 기업 육성, 일자리 창출에 두고 있다.

[추진 전략]

광주광역시 자동차산업의 비전 및 단계별 목표 달성을 위한 추진 전략은 '광주광역시 자동차산업 혁신 클러스터 조성'이며, 이를 통해 자동차산업의 가치 창출을 확대하고 지속 성장 기반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각 클러스터별 전략을 살펴보면, '빛그린국가산업단지'는 완성차 공장 중심 친환경 자동차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첨단 3단지'의 전략은 AI산업 융합단지 내 지능형 자동차 테스트베드축의 구축이며, '하남·소촌 산업단지'의 전략은 기존 부품 기업을 중심으로 미래 자동차산업과의 연계이다.

[생산 규모 및 현황]

2019년 기준, 광주광역시는 연간 62만 대 자동차 생산으로 국내 제2의 자동차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국내 생산 능력 458만 9000대 중 62만 대로 13.5%를 차지하는 것이다. 광주광역시 자동차산업은 제조업 중 최대의 주력 산업으로서, 매출액이 43.1%[14.5조 원], 업체 수가 12.2%[161개사], 종사자 수가 23.3%[1만 5천 명]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최대 수출산업으로서 제조업 전체 수출의 40.7%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3.16 내용변경 [정의] 내용 추가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