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303
한자 行政
영어공식명칭 Public Administra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형주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공권력을 배경으로 이루어지는 공공 정책의 합리적인 형성과 집행 과정.

[개설]

광주광역시의 행정 행위는 「대한민국 헌법」을 비롯하여 「지방자치법」 등의 법령, 광주광역시 조례·규칙, 그리고 예산 등의 행정 규범에 따라 수행된다.

[행정 약사]

우리나라는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연합국에 패망하자 주둔 미군에 의한 군정이 2년 11개월 동안 실시되었다. 이후 1947년 6월 3일 군정청(軍政廳)이 폐지되고,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정부 수립 당시 광주부는 1949년 광주시로 승격되었다. 이후 두 차례의 행정구역 변경을 거쳐 1963년 서창·대촌출장소가 광산군에 다시 환원되면서, 시 관할 구역은 214.92㎢로 좁아지고 6개 출장소와 45개 동이 되었다.

1966년 계림1구·월산동·효죽동 3개 동을 분동하여 48개 동으로 늘렸고, 1970년 다시 산수2동·서석2동·학3동 등 10개 동으로 분동하여 모두 58개 동이 되었다. 이때 당시 광주의 인구는 50만 2000명이었다. 1973년 7월 1일부터 종래의 4개 출장소를 폐지하여 석곡·지산 출장소만 남겼고, 동구서구로 나누어 구제(區制)를 실시하게 된다. 1980년 4월 1일 남은 석곡·지산 출장소도 폐지하고 북구를 신설하여 3개 구로 운영하다가, 1986년 11월 1일 「광주직할시 설치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어 부산·대구·인천에 이은 네 번째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이때 당시 3개 구, 72개 동으로 행정구역 면적은 215.11㎢에 불과했지만, 1988년 1월 1일 「법률 제3963호」 공포로 송정시와 광산군 전역을 광주직할시에 편입시키게 되면서 면적은 500.73㎢로 크게 늘어나고 4구 83동 9출장소를 관할하는 서남권 중추관리 기능도시로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1995년 1월 1일 직할시의 명칭이 광역시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3월 1일에는 서구를 분구해 남구가 설치되면서 5개 구가 되었다. 2021년 현재 5개 자치구 95개 행정동[202개 법정동, 2,356통, 11,603반]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면적은 총 501.14㎢, 총인구는 148만 293명[외국인 포함]에 이른다.

[행정 기구 및 조직]

2021년 4월 현재, 광주광역시 본청에는 시장, 행정부시장·경제부시장, 기획조정실, 시민안전실, 자치행정국, 민주인권평화국, 복지건강국, 여성가족국, 환경생태국, 도시재생국, 군공항이전추진본부, 교통건설국, 문화관광체육실, 일자리경제실, 인공지능산업국, 소방안전본부 등의 4실·8국·2본부를 두고 있다.

기획조정실에는 정책기획관, 예산담당관, 평가담당관, 스마트도시담당관, 정보화담당관, 법무담당관, 국제협력담당관을 두고 있다. 시민안전실에는 안전정책관, 자연재난과, 사회재난과, 민생사법경찰과를 두고 있다. 자치행정국에는 자치행정과, 총무과, 균형발전정책과, 세정과, 회계과를 두고 있다. 민주인권평화국에는 민주인권과, 5.18선양과, 평화기반조성과를 두고 있다. 복지건강국에는 사회복지과, 고령사회정책과, 장애인복지과, 건강정책과, 감염병관리과, 식품안전과를 두고 있다. 여성가족국에는 여성가족과, 출산보육과, 교육청소년과를 두고 있다. 환경생태국에는 기후환경정책과, 대기보전과, 자원순환과, 공원녹지과, 물순환정책과, 하수관리과를 두고 있다. 도시재생국에는 도시계획과, 도시재생정책과, 도시정비과, 도시경관과, 주택정책과, 토지정보과를 두고 있다. 군공항이전추진본부에는 군공항정책과, 이전사업과를 두고 있다. 교통건설국에는 교통정책과, 대중교통과, 건설행정과, 도로과를 두고 있다. 문화관광체육실에는 문화도시정책관, 문화기반조성과, 문화산업과, 관광진흥과, 체육진흥과를 두고 있다. 일자리경제실에는 일자리정책관, 투자유치과, 기업육성과, 민생경제과, 생명농업과를 두고 있다. 인공지능산업국에는 미래산업정책과, 인공지능정책과, 자동차산업과, 에너지산업과를 두고 있다. 소방안전본부에는 소방행정과, 방호예방과, 구조구급과, 119종합상황실, 119특수구조단, 빛고을국민안전체험관을 두고 있다.

직속기관으로 공무원교육원, 보건환경연구원, 농업기술센터, 소방학교, 5개 소방서가 있다. 사업소로는 상수도도시사업본부, 종합건설본부, 도시철도건설본부, 시립도서관, 시립미술관, 문화예술회관, 푸른도시사업소,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서부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일가정양립지원본부, 서울본부, 5.18기념문화센터, 각화동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우치공원관리사무소, 김치타운관리사무소 등이 있다. 의회사무처에는 의정담당관, 홍보소통담당관, 입법정책담당관, 운영수석전문위원, 행정자치전문위원, 환경복지전문위원, 산업건설전문위원, 교육문화전문위원, 특별전문위원이 있다. 이외에 합의제 행정기관인 광주광역시감사위원회, 출장소로 광주경제자유구역청을 두고 있다.

[지방 공무원 정원]

2021년 4월 현재, 「지방자치법」,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 「지방자치단체에 두는 소방공무원 정원에 관한 규정」 및 「지방자치단체에 두는 소방공무원 정원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에 따라 광주광역시 조례로 정하는 광주광역시 지방 공무원의 정원은 총 4,086명으로서 시 본청에 2,405명, 소방안전본부·소방학교와 소방서에 두는 소방공무원 정원 1,568명, 의회사무기구의 정원 71명, 합의제 행정기관의 정원 42명이 있다.

[광주광역시 2021년도 예산]

광주광역시 2021년도 예산은 총 6조 2,831억 원으로 2020년 대비 10% 증가하였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사회복지예산이 2조 3,653억[37.7%]으로 가장 많고, 그 뒤로 교통 및 물류 8,558억[13.6%], 일반공공행정 7,197억[11.5%], 환경 4,483억[7.1%], 교육 3,939억[6.3%], 기타 3,643억[5.8%], 문화 및 관광 3,247억[5.2%],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 2,842억[4.5%], 국토 및 지역개발 2,832억[4.5%], 보건 858억[1.4%], 공공질서 및 안전 800억[1.3%], 농림해양수산 565억[0.9%], 예비비 119억[0.2%], 과학기술 80억[0.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정 자립도는 2021년도 광역시 재정 자립도[본예산 기준]에서 광주광역시는 37.2%이다.

[참고문헌]
  • 『제60회 광주통계연보』(광주광역시, 2020)
  • 「광주광역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광주광역시 조례 제5626호, 2020. 12. 28. 개정)
  • 「광주광역시 공무원 정원 조례」(광주광역시 조례 제5626호, 2020. 12. 28. 일부 개정)
  • 광주광역시청(https://www.gwangju.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