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노준공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871
한자 盧俊恭
영어공식명칭 No Jungong
이칭/별칭 심계(心溪),절효(節孝)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바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40년연표보기 - 노준공 출생
몰년 시기/일시 1397년연표보기 - 노준공 사망
추모 시기/일시 1387년 - 노준공 정표(旌表)
사당|배향지 절효사 -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로41번길 41-8[일곡동 567-2]지도보기
성격 효자
성별
본관 광산(光山)

[정의]

고려 후기, 조선 전기 전라도 광주 지역의 효자.

[가계]

노준공(盧俊恭)[1340~1397]의 본관은 광산(光山), 호는 심계(心溪), 시호는 절효(節孝)이다. 할아버지는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진현관대제학(進賢館大提學) 노유간(盧有榦), 아버지는 판중추겸밀직사사(判中樞兼密直司事) 노사청(盧士淸)이다. 아들은 셋으로, 병조판서 노영국(盧永國), 이조참판 노영방(盧永邦), 장령(掌令) 노영신(盧永愼)이다.

[활동 사항]

노준공은 전라도 광주 사람으로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머니 병환이 위독해지자 변을 맛보고, 두 번이나 손가락을 잘라 쾌유를 빌었으나 돌아가시자 매우 슬퍼하며 3년간 여묘살이를 하였다. 고려 말 당시 상제(喪制)는 100일 동안만 상복을 입는 것이 상례였는데, 노준공의 여묘살이를 국가에서 가상히 여겨 1387년(우왕 13) 10월 마을에 정표(旌表)하였다. 조선을 세운 태조(太祖)[1335~1408]가 노준공의 명성을 듣고 여러 차례 불렀으나 서석산(瑞石山) 세심계(洗心溪)에 은거하여 평생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

[상훈과 추모]

『광주읍지(光州邑誌)』에 따르면, 태종(太宗)[재위 1400~1418] 때 펴낸 『고산선생속집(鼓山先生續集)』 「절효노공행장(節孝盧公行狀)」에서, 정종(定宗)[재위 1398~1400] 때 노준공에게 절효(節孝) 시호를 내려주고 정문(旌門)을 세워 정표(旌表)하였다고 전한다. 1659년(효종 10)에 노준공을 배향(配享)하는 절효사를 중건하여 사림들이 춘추로 제향(祭享)했다는 기록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