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003
한자 褒忠祠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67[원산동 77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한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01년연표보기 - 포충사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74년 5월 22일연표보기 - 포충사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03년 - 포충사 '포충(褒忠)' 사액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8~1980년 - 포충사 유적정화사업 진행
현 소재지 포충사 -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67[원산동 775]지도보기
성격 사우
관리자 포충사 관리사무소

[정의]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에 있는 조선시대 의병장 고경명 등을 배향한 사우.

[개설]

포충사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에 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인 고경명(高敬命)[1533~1592]과 고경명의 아들인 고종후(高從厚)[1554~1593], 고인후(高因厚)[1561~1592] 및 금산전투에서 같이 순절한 유팽로(柳彭老)[1554~1592], 안영(安瑛)[1564~1592]을 배향하고 있다. 광주전남 지역 서원과 사우 중에서 장성 필암서원과 함께 흥선대원군 서원 철폐령[1868년, 고종 5] 때 훼철되지 않은 곳이다. 1601년(선조 34) 호남 지역 유학자들이 고경명 등을 기리기 위하여 지금 자리에 사당을 건립하였다. 1603년(선조 34) 박지효(朴之孝) 등을 중심으로 한 유학자와 고경명의 후손들이 사액(賜額)을 청하여 조정에서 '포충(褒忠)'이란 이름을 받았다. 이후 수차례 중수가 되었다. 1978~1980년 유적정화사업이 진행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갖추었다. 1974년 5월 22일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67[원산동 775]에 있다.

[변천]

포충사는 1601년 건립된 후 1603년 '포충(褒忠)' 사액을 받았으며, 1616년, 1618년, 1623년, 1810년, 1879년, 1919년, 1927년, 1933년, 1970~1974년 중수하였다. 1978~1980년 유적정화사업을 통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형태]

포충사는 1978~1980년 유적정화사업으로 신사우 구역과 구사우 구역로 나누어진다. 신사우 구역에는 사당인 포충사와 내삼문인 성인문(成仁門)이 있으며, 내삼문 앞에는 유물전시관인 정기관(正氣館)과 외삼문인 충효문이 있다. 구사우 구역은 신사우 구역의 서쪽에 있으며, 사당과 동재, 서재 및 내삼문, 외삼문이 있고, 입구에는 홍살문이 있다.

[현황]

소장 자료로는 포충사우가(褒忠祠宇歌) 등 현판문 3매, 복호입안문서(復戶立案文書)와 고경명의 문과급제교지(1558) 등 고문서 6매, 고경명 친필 마상격문(馬上檄文), 『제봉집(霽峯集)』, 『정기록(精氣錄)』 등의 목판 493매가 있다. 포충사 관리사무소에서 관리하며, 매년 4월 15일에 제향행사를 한다. 1974년 5월 22일에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서 필암서원과 함께 광주전남 지역에서 훼철되지 않은 곳으로, 사우의 전통적 구조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광주 지역의 유학자들의 충절을 기리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문화유적분포지도』-광주광역시(전남대학교박물관, 2004)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http://www.gjsgcc.or.kr)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광주광역시 포충사(https://www.gwangju.go.kr/pochungsa/).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