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한라돌쩌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697
한자 漢拏-
영어공식명칭 East Asian monk’shood
이칭/별칭 섬투구꽃,초오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행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식물
학명 Aconitum japonicum subsp. napiforme (H.Lév. & Vaniot) Kadota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피자식물문〉쌍자엽식물강〉이판화아강〉미나리아제비목〉미나리아재비과
원산지 한국|중국|일본
높이 50~100㎝
개화기 9월
결실기 9~10월

[정의]

광주광역시 무등산국립공원에 자생하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형태]

한라돌쩌귀는 덩이뿌리를 가진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어긋나기하며, 3개로 갈라진다. 9월에 피는 꽃은 청자색으로 산방상꽃차례로 달리며 3개의 열매는 골돌이다.

[생태]

한라돌쩌귀는 주로 산속 계곡 주변이나 낙엽수림 아래와 같이 습기가 많은 곳에서 덩굴식물처럼 비스듬히 자라는데, 잎은 세 갈래로 갈라지고 꽃은 진한 자주색을 띠며, 줄기 끝에 모여 피어 투구꽃하고 흡사하다. 광주광역시 무등산국립공원의 두껍게 쌓인 부엽층과 습기가 풍부한 토양 조건에서 소수의 개체가 자라고 있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한라돌쩌귀는 광주광역시 재래시장 등의 한약재상에서 말린 덩이뿌리를 약용으로 판매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