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매미꽃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689
영어공식명칭 Korean forest poppy
이칭/별칭 여름매미꽃,개매미꽃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행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식물
학명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피자식물문〉쌍자엽식물강〉이판화아강〉양귀비목〉양귀비과
원산지 한국
높이 20~40㎝
개화기 6~7월
결실기 8월

[정의]

광주광역시 무등산국립공원 내 계곡과 인접한 등산로 주변에 자생하는 양귀비과의 쌍떡잎식물.

[개설]

매미꽃은 여름 식물로, 무등산국립공원 사면과 계곡 주변에 드물게 자라는 한국 고유종으로 줄기나 잎에 상처가 생기면 노란색을 띠는 빨간 액이 나온다.

[형태]

매미꽃은 꽃줄기가 높이 20~40㎝까지 자라며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며, 노란색의 꽃은 지름 2~3㎝로 6~7월에 피며, 꽃줄기에는 잎이 나지 않는다. 꽃받침잎은 2장이고 꽃잎은 4장이며, 수술은 많다. 열매는 삭과로 8월에 익는다.

[생태]

매미꽃은 주로 한반도 남부 지역에 분포하며, 무등산국립공원에서는 낙엽수림 계곡의 하부에서 자란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매미꽃과 피나물은 많이 비슷하여 학자들간에도 종에 대한 정의에 이견이 있으나 매미꽃과 피나물을 구분하는 주요 기준은 꽃줄기에 생기는 잎의 여부와 땅속줄기의 발달 여부를 기준으로 한다. 1972년에 무등산[현 무등산국립공원]에서 채집된 피나물의 표본은 전남대학교 표본관에 남아 있다. 그러나 무등산국립공원에서 현재 볼 수 있는 식물은 대부분 매미꽃이다. 꽃의 관상가치가 높고 개화 기간이 길게 지속되므로 관상식물로 이용 가능성이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