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687
한자 -綿馬
영어공식명칭 Oriental ostrich fern
이칭/별칭 모관중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행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식물
학명 Onoclea orientalis (Hook.) Hook.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양치식물문〉고사리강〉고사리아강〉고사리목〉면마과

[정의]

광주광역시 무등산국립공원에 자생하는 난온대 지역의 남방한계성 양치식물.

[개설]

개면마는 봄 식물로, 대륙으로부터 남하한 북방계 식물로 무등산국립공원의 계곡부에 자생하고 있다.

[형태]

포자를 생산하는 여러해살이 양치식물로 뿌리, 줄기, 잎으로 분화된 기관을 가진 관속식물이다. 땅속줄기는 굵고 비스듬히 자라며, 마른 잎자루는 기부에 남아 있다. 잎은 모양이 다른 두 가지 종류가 발생하며, 한 종류는 광합성을 하는 영양엽이고, 다른 한 종류는 포자를 생성하는 포자엽이다. 포자는 9~11월에 익으며, 볏짚색으로 다음해 봄까지 쓰러지지 않는다.

[생태]

무등산국립공원의 그늘진 낙엽활엽수림 아래 습한 계곡에서 자란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광주광역시 북구 화훼단지에서는 포자엽을 꽃꽂이 재료로 판매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