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무등산 졸참나무숲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682
한자 無等山-
영어공식명칭 Konara oak community in Mudeung Mountain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지명/군락, 서식지 및 철새 도래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행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현 장소 무등산 졸참나무숲 - 광주광역시 무등산국립공원지도보기
생물학적 분류 속씨식물문〉쌍떡잎식물강〉참나무목〉참나무과〉졸참나무

[정의]

광주광역시 무등산국립공원에 있는 졸참나무숲.

[생물학적 특성]

졸참나무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수피는 회백색으로 처음에는 매끄럽지만 나중에는 얕게 세로로 갈라진다. 4~5월에 꽃이 피며, 차례를 이룬 수꽃은 새 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아래로 처지고 암꽃은 새 가지 윗부분에서 곧게 선다.

[자연환경]

졸참나무는 특별히 환경을 가리지 않지만 토양이 깊고 완만한 경사지에서 잘 자란다.

[현황]

졸참나무는 무등산국립공원광주광역시 북구 지역의 광주 구 무등산 관광호텔[무등산장]에서 동구 지역의 중봉에 이르는 사면과 새인봉 사면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좋은 숯재료로 사용되던 졸참나무가 무성하게 숲을 이루었던 무등산국립공원 부근에는 많은 도요지가 발달되었다.

[참고문헌]
  • 이창복, 『원색 대한식물도감』(향문사, 2003)
  • 홍행화 외, 「무등산 지역의 식물상」(『환경생물학회지』 31-2, 한국환경생물학회, 1993)
  • 무등산웹생태박물관-식물상(https://geopark.gwangju.go.kr/mudeung)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 지식정보시스템(http://www.natur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