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자. 풍암정 은 풍암(楓岩) 김덕보(金德譜) [1571~1627]가 두 형을 기리며 지은... 만들어져 있다. 내실 사방 중 정면에만 출입문이 있고 후면에는 작은 창이 하나 있으며 풍암정사(楓岩亭社)라고 쓴 현판이 걸려 있다. 풍암정 은 계곡에 묻히듯 자...
-
무등산 에서 발원하여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을 흐르는 하천. 풍암천(楓巖川) 의 명칭은 인근에 있는 풍암정 과 풍암제 [ 풍암저수지 ]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풍암'이라는 이름은 풍암정 을 지은 김덕보(金德普) [1571~1627]의 호인 ' 풍암 '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
-
... 이후 막하(幕下)로 나아가 군사 계획에 도움을 주었다. 김덕령 이 무고로 인해 옥사하자 김덕보 는 고향으로 돌아와 풍암(楓巖) 이라고 호를 붙이고, 무등산 에 풍암정 [지금의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718 ]을 지어 학문에 전념하였다. 유일(遺逸)로 여러 차례 천거되어 별제(別提)를 제수받았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1627년...
-
...1872년 지방 지도 다음으로 관아 내 건물이 많이 그려진 지도이다. 광주 의 진산인 무등산 이 남동쪽에 있고, 그 기슭에 천제단과 약사, 증심사 , 원효암 , 풍암정 등이 그려져 있다. 가운데 정사각형 모양의 읍성이 있고, 그 안에 관아 건물이 빽빽이 그려져 있다. 사직, 향교 및 광주에 속한 41개 면의 명칭이 네모 안에 표시되어 있다...
-
...여 ' 삼밭실 '이라고 한다. 삼밭실 은 무등산 정상 서북쪽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모이는 곳으로 물이 많고 그늘이 져서 인삼이 자라기에 적합하였다. 계곡의 하류인 풍암정 쪽을 막아 풍암제 를 만들어 농업용수로 쓰고 있는데, 1976년 영산강 개발계획 제1단계 사업으로 광주호 가 만들어져 원효계곡 에서 풍암저수지 로 모인 물...
-
...정하였다. 북구8경 에는 무등산 , 국립5.18민주묘지 , 중외공원 문화벨트 , 충효동 왕버들과 호수생태원 , 원효사 , 환벽당 · 풍암정 , 말바우시장 ,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가 있다. 환벽당 과 풍암정 은 다른 장소에 자리함에도 정자로 묶어 6경으로 선정하였다. 1. 무등산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산천왕봉길 460 [ 금곡동 ]에 자리한 무등산 은...
-
... 달라고 요청하고, 4월 19일 드디어 길을 나선다. 동행자는 정자앙 과 김안중 이었다. 2. 주상절리의 형상 고재붕 일행은 원효암 을 시작으로 풍암정 , 안양 , 무암 , 병암 , 작봉 , 입석대 , 반야봉 , 풍혈대 , 규봉 , 삼존석 을 거친다. 다음은 반야봉 에 대한 묘사 부분이다...
-
...만귀정 , 용두동지석묘 , 용진정사 , 고원희가옥 , 운림동석실고분 , 고내상성지 , 용진산마애여래좌상 , 양과동정 , 부용정 , 호가정 , 풍암정 , 김봉선유품 , 삼거동고인돌군 , 임암동.원산동선사주거지및석곽묘 , 『양과동계고문서』 , 광주읍성유허 , 유촌동석조여래좌상 , 석아정오방정현판 ,...
-
...7세기에 지어진 누정 중 대표적인 곳은 환벽당(環碧堂) , 풍영정(風詠亭) , 풍암정(楓岩亭) 등이 있는데 이들은 이러한 누정문학의 존재 양식을 잘 보여준다. 많은 시인... 중수(重修)나 이건(移建)에 따른 중수기나 이건기 등이 있다. 광주 지역에서도 「풍암정기」 , 「연파정기(蓮坡亭記)」 , 「양과동정중수기(良苽洞亭重修記)」 , 「...
-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인 필문이선제부조묘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인 무양서원 , 풍영정 , 만귀정 , 용진정사 , 양과동정 , 부용정 , 호가정 , 풍암정 , 만취정 , 창녕조씨 삼강정려 , 취가정 이 있다. 역사유적에는 광주광역시 기념물인 정지장군예장석묘 , 전상의장군예장석묘 , 허백련춘설헌 , 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