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1076 |
---|---|
한자 | 李華 |
이칭/별칭 | 이화(李和),행원(行源)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두헌 |
활동 시기/일시 | 16세기 중엽 - 이화 전주에서 임피로 이주 |
---|---|
거주|이주지 | 이화 이주지 -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 |
묘소 | 이화 묘소 -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 외현내 황제 방죽 위의 독곡산 |
성격 | 입향조 |
성별 | 남 |
본관 | 전주 |
조선 전기 전라북도 군산 지역[옛 임피현]에 세거한 전주 이씨(全州李氏) 시중공파(侍中公派) 문정공파(文正公派) 임피성동파(臨陂城東派) 취남파(鷲南波)의 입향조.
이화(李華)는 16세기 중엽 무렵에 전주에서 임피로 들어와 거주하였다. 이후 그의 후손들이 임피 일대에 세거하면서 집성촌을 형성하였는데, 이들은 자신들을 임피성동파(臨陂城東派) 취남파(鷲南波)라고 부르고 있다.
이화의 본관은 전주이고, 일명(一名) 이화(李和)이며, 자(字)는 행원(行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참봉을 지낸 이처선(李處善)이고, 할아버지는 통덕랑을 지낸 이완(李完)이며, 아버지는 정결(貞潔)이다. 외할아버지는 미상이며, 장인은 강숙(康淑)[본관 곡산]이다.
이화는 임피에 세거한 전주 이씨(全州李氏) 시중공파 문정공파 임피성동파 취남파의 입향조이다. 생졸 연도는 미상이다. 이화의 할아버지 이완(李完)의 묘는 전주 건지산(乾止山)에 있다. 따라서 전주에서 임피로 들어와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손자 이원생(李元生)[1572~?]의 출생 연도로 보아 이화가 임피로 입거한 시기는 16세기 중엽일 것으로 추정한다. 이화가 임피에 입거한 이후, 그의 후손들이 임피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어 세거하여 왔다.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 외현내 황제 저수지 윗 편 독곡산(讀谷山)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