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택 임씨 에서 분파한 옥구 임씨 시조이고, 아들 임유문(林有文) 도 옥구 출신으로 관직이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에 이르렀다. 임개 의 출생 연도는 알 수 없고, 1107년( 고려 예종 2)에 사망하였다. 옥구현 출신으로서 성품이 강직하고 청렴하였으며, 대신으로서의 풍모가 있었다. 문종 때에 내시(內侍)로서 대...
-
... 의 숙부인 두장 이다. 1986년에 간행된 『두릉 두씨 세보(杜陵杜氏世譜)』 에는 병진(丙辰)에 태어났고 갑진(甲辰)에 사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두장 의 생졸 연도는, 두장 의 조카 두승손 이 태조 조에 병마 우후를 지낸 것으로 보아, 1367년(공민왕 16)에 태어나 1424년(세종 6)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두장 의...
-
...x20; 고의충 은 고려 후기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관직으로 사온서(司醞署) 직장(直長), 참의(參議) 등을 지냈다. 큰 아들 경지(敬池) [1416~1483]의 생몰 연도로 보아, 고의충 의 생존 시기가 고려 말 조선 초라는 족보의 기록이 실제와 부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의충 의 묘는 전라북도 군산시 월명동 ...
-
...데, 이는 고경 의 고향이 옥구 이기 때문이라는 점 등이다. 고돈겸 이 옥구 로 유배된 시기는 아들 고형중(高瑩中) [1131~1208]의 생몰 연도로 보아 12세기 중반경으로 추정된다. 고돈겸 의 후손들은 옥구 와 임피 지역의 여러 곳[ 옥구읍 옥정리 , 옥구읍 어은리 , 학당리 , 임피면 월하리 ...
-
...였다. 부정형 할석을 이용하여 무덤을 구축하였으며, 평면 형태는 세장방형에 가깝다. 무덤의 바닥은 암반을 다듬어 사용한 것과 전면에 잔돌을 깐 것이 확인된다. 횡혈식 석실분은 연도의 방향이 좌측이나 우측에 편재된 것과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편재된 연도를 갖춘 무덤은 축조 재료가 자연석이거나 혹은 약간 다듬은 면석을 사용한 반면에, 중앙에 연도를 갖춘 무덤은 대부분 잘 다듬은 판석을 사용하였다. 수혈식 석곽묘에서 백제 시대 ...
-
...에는 외풍을 막기 위해 동백나무를 심었으며, 봉수대 밑으로 봉수군의 주둔지로 추정되는 건물 대지가 마련되어 있다. 방축도 봉수대 에서는 주변의 대장도 , 연도 , 어청도 , 위도 가 한눈에 조망되어 고대부터 서해안 을 통해 항해하는 선박의 길잡이 역할을 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조선 시대 선유도 에 고군산진 ...
-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연도리 십이동파도 해저유적 에서 출토된 닻장. 닻장은 자체 부력으로 인해 가라앉지 않는 나무 닻에 부착하여 닻이 해저에 쉽게 가라앉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군산시 옥도면 연도리 십이동파도 해적 유적 에서 출토되었다. 닻장의 크기는 길이 127~137㎝, 너비 49~57㎝, 두께 8㎝이다. ...
-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연도리 십이동파도 해저유적 에서 출토된 철제솥. 십이동파도 해저유적 에서 철제솥은 2점 인양되었는데, 선체 중앙 투시간 부근에서 출토되어 선원들의 식생활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철제솥은 전을 갖추고 있으며, 복부(腹部)가 깊은 유형이다. 선상 생활에 편리하도록 다리를 부착한 세발 달린 ...
-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연도리 십이동파도 해저유적 에서 인양된 고려 시대 선박의 선체. 선체는 편평한 저판과 ‘L'자형 부재인 만곡부재(彎曲部材)를 갖추고 있는 평저형 구조이다. 그러나 선체의 대부분이 유실되고 개흙에 묻혀있던 저판과 만곡종통재(彎曲縱通材) 일부만 남아있어 정확한 구조는 파악할 수 없었다. 즉, 선체의 상부는 대부분...
-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연도리 십이동파도 해저유적 에서 인양된 청자류. 십이동파도 해저유적 에서 인양된 청자는 대접과 완, 접시, 소호, 유병, 반구병, 편병 등 다양한데 11세기 후반에서 12세기 초반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십이동파도 해저유적 에서 인양된 청자는 대접과 완, 접시, 소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