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내어 토광을 마련하였다. 석실은 천정석 일부가 노출된 반지하식으로 그 축조 방법이나 연도의 위치에서 긴밀한 공통성을 보였다. 2기 모두 바닥에 크기가 큰 판석형 할석을 서로 잇... 매의 판석형 할석만 가지고 축조되었다. 석실의 바닥은 소형 할석편을 전면에 깔았으며, 연도는 동쪽에 편재된 우편재이다. 두 기의 고분에서는 관고리와 관정만 출토되었다. 현재 공...
-
...기가 상당량 출토되었는데 이러한 유물을 통해 주거지의 조성 시기와 그 성격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특히 3호와 20호 주거지에서는 주거지의 벽면을 따라 시설된 연도부가 정연하게 확인되어, 노지와 연도부의 구조를 밝힐 수 있는 값진 자료로 평가된다. 산줄기의 정상부에 입지를 둔 횡혈식 석실분은 전형적인 웅진기 유형으로 당시 백제 의 중앙과 재지 세력과의 교류 관계를 규명...
-
...이 폭넓게 산재되어 있으며, 수십 년 전 도굴로 인해 고분이 파헤쳐졌다는 마을 주민들의 제보가 있었으며, 3구역에는 현재 과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곳에서 파괴된 횡혈식 석실분의 연도부와 일부 벽석 등이 확인된 적이 있다. 주변에서는 삼국 시대 회청색 경질 토기편 등이 확인되었다. 서포리 고분떼 는 노출된 고분의 특성상 백제 시대 중앙 묘제...
-
...배수로를 이루고 있으며, 그 일부는 도로에 걸쳐 있다. 벽석의 축조 방법을 살펴보면 판상석을 이용하여 장벽과 단면을 만들고, 그 위에 역시 판상석을 덮은 소위 평천정 구조이다. 연도는 확인되지 않으며, 잔존 길이는 220㎝, 폭 90㎝이고 동남-서북 방향에 장축을 두고 있다. 고분과 그 주변에서는 유물이 수습되지 않아 고분의 시대를 추정하기 매우 어려운데...
-
...였다. 부정형 할석을 이용하여 무덤을 구축하였으며, 평면 형태는 세장방형에 가깝다. 무덤의 바닥은 암반을 다듬어 사용한 것과 전면에 잔돌을 깐 것이 확인된다. 횡혈식 석실분은 연도의 방향이 좌측이나 우측에 편재된 것과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편재된 연도를 갖춘 무덤은 축조 재료가 자연석이거나 혹은 약간 다듬은 면석을 사용한 반면에, 중앙에 연도를 갖춘 무덤은 대부분 잘 다듬은 판석을 사용하였다. 수혈식 석곽묘에서 백제 시대 ...
-
...조사[1995년] 당시 확인되었다. 오성산 임로를 따라 오르다 보면 민가가 보이는데 이곳에서 북쪽으로 100m 정도 거리를 두고 민묘군이 조성되어 있다. 이 민묘군 하단부에 연도 부분이 파괴된 상태로 노출된 1기의 석실분이 자리하고 있으며 할석을 이용하여 축조된 백제 시대 고분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민묘 조성 지역이 관리가 되지 않아 잡목과 수풀이 무성...
-
... 축조된 지하식이다. 유구의 보존 상태가 가장 양호한 산월리 2호분은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할석을 가지고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벽석을 약간씩 들여쌓고 한매의 개석으로 덮었다. 연도는 그 길이가 그다지 길지 않고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8호분은 가락동 4호분과 공주 보통골 17호분과 흡사하게 남벽과 서벽 사이에 비스듬히 연도를 두었다. 벽석의 축조 방법과 석실의 평면 형태, 연도의 위치 등 유구의 속성에서 백제 고분의 정형성보다 오히려 과도기적인 특징을 강하게 보였다. 군산 산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