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서 정착한 이후 후손들이 회현면 학당리 , 고사리 , 금광리 , 옥도면 연도리 , 개야도리 , 서수면 마룡리 , 옥서면 선연리 에 집성촌을 이루며 세거...07명[ 구학당 마을 10가구 43명, 원학당 마을 14가구 64명], 옥도면 연도리 일대에 10가구 47명, 개야도리 에 13가구 62명, 서수면 마룡리 일대에...
-
...몽조[현조]로 하는 경주김씨 호조 참의공파가 옥구 에 세거하기 시작하였다. 김생수 가 옥구 에 입거한 시기는 아들 김영보(金永輔) [1417~1476]의 생졸 연도로 보아, 15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김생수(金生水) 는 옥구 에 입거한 이후 서당 곧, 학당을 개설하고 후진을 양성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김생수 가 ...
-
...세거하였다. 광주반씨 의 시조 반충(潘忠) 은 자(字)가 평중(平重) 또는 공직(公直) 이다. 고려 시대인 1348년(충목왕 4)에 태어났고, 사망 연도는 미상이다. 이성계 가 조선 을 건국한 1392년(태조 1)에 개국원종공신에 녹훈(錄勳)되었고, 해양군(海陽君) 광주백(光州伯)에 봉군되었으며, 시호로 문헌(文憲) ...
-
...주지가 포천 → 익산 → 고산 → 옥구 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김윤경 이 옥구 에 입거한 시기는 아버지 김자완(金自垸) [1425~1457]의 생몰 연도로 보아 15세기 후반 경으로 추정된다. 김윤경 의 묘는 회현면 세장리 죽동 의 수원지 역내에 있었다. 관직은 통덕랑(通德郞) 한성판관(漢城判官)을 지냈고, 좌리공신(佐理...
-
... 로 입거한 가장 큰 이유는 외가와 처가가 모두 옥구 에 있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이몽원 이 옥구 에 입거한 시기는 아버지 이인신 [1547~1518]의 생졸 연도로 보아 16세기 전반 경으로 추정한다. 이몽원 이 옥구 로 입거한 이후 경주이씨 들이 조선 시대 옥구현 내에서 집성촌을 이루며 세거하여 왔다. 이...
-
... 수원 에 있고 심숙 의 묘는 임피(臨陂) 에 있기 때문에 심숙 이 수원 에서 임피 로 이주하였다고 판단한다. 심숙 이 임피 에 입거한 시기는 출생 연도로 보아 16세기 말 또는 17세기 초 무렵으로 추정된다. 심숙 이 임피 에 입거한 이후 후손들이 나포면 부용리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며 세거하여 왔다. ...
-
... 입거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하는데, 후손들도 그렇게 여기고 있다. 인동 장씨 가 임피 에 입거한 시기는 이수인 의 당질 이식(李湜) 의 생원시 합격 연도[1447년 식년시 생원시 합격]와 문과 급제 연도[1472년 춘당대시 문과 급제]로 보아, 그리고 조카 이사검 의 진사시 합격 연도[1501년 식년시 진사시 합격]로 보아, 15세기 말 경으로 추정된다. 이수인 은 남해...
-
...를 이동하였다. 고돈겸 의 8세손 고영손 [1351-1413]에게는 고인충 과 고의충 두 명의 아들이 있었다. 두 아들의 생존 시기는 아버지의 생졸 연도로 보아, 고려 말 조선 초로 추정된다. 그런데 큰 아들 고인충 은 옥구 에 세거하지 않고 처가가 있는 고산(高山) [현재 완주군 고산면 ]으로 이주하였다가 현손인...
-
...랑공은 창녕성씨 시조 성인보(成仁輔) 의 6세손 성사준(成士俊) 이고, 성사준 의 6세손이 성수번 이다. 성수번 의 셋째 아들 성봉천(成奉天) 의 생졸 연도[1534~1593]로 보아, 성수번 이 임피 에 입거한 시기는 16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성수번 은 선무랑, 통예원 인의 등의 관직을 지냈으며, 1562년(광해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