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 있는 조선 시대 공자 와 선현을 향사하고 후학들에게 교육을 실시한 향교. 인동향교 는 정확하게 어느 시기에 건립되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조선 전기의 어느 시점에 건립...1987년 임수동 에 부지를 확보하고 이전 중수에 착공하여 이듬해에 완공하였다. 인동향교 는 다른 향교와 마찬가지로 전학후묘형(前學後廟形), 즉 앞쪽은 공부하는 공간, 뒤쪽...
-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에 있는 조선시대 공자 를 모신 사당. 인동향교 는 여말선초(麗末鮮初)에 건립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임진왜란 직후인 1601년(선조 34)에 안태동 의 옥산 북쪽으로 이건하였다. 그러나 지형이 좋지 않다 하여 1634년(인조 12)에 옥산 서쪽인 인의동 으로 재이건하였다...
-
...1,776,000명의 이용자를 기록하였다. 동락공원 은 구미국가산업단지 의 구미2공단 과 구미3공단 의 오른쪽에 낙동강 을 따라 조성되어 있으며, 인근에는 인동향교 와 동락서원 , 동락나루터 , 강변체육공원 등이 있다. 경부고속국도 남구미IC 에서 나와 국도 33호선 을 타고 남구미대교 를 건너면 좌측으로 ...
-
... 재임기간 동안의 선정을 기려 주민들이 비를 세웠다.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月日立)'이라 기록되어 있어 이 비가 1658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비석은 인동향교 의 입구 앞쪽에 다른 여러 기의 비석과 함께 세워져 있다. 인동향교 입구 앞쪽 ...
-
...라 새겨져 있고, ‘갑오칠월(甲午七月)'이라 기록되어 있어 이 비가 1894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 의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의 비석을 옮겨와 정돈해 놓은 곳에 세워져 있다. 인동향교 입구 앞쪽 비석군을 찾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공직자 상을 생각하게 한다.
-
...새겨져 있고, ‘정해사월(丁亥四月)'이라 기록되어 있어 이 비석이 1887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 의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의 비석을 옮겨와 정돈해 놓은 곳에 세워져 있다. 인동향교 입구 앞쪽의 비석군을 찾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공직자 상을 생각하게 한다.
-
...에 낙동강 이 흐르고, 강변으로 동락공원 이 자리하고 있다. 공단 한가운데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계천 이 낙동강 으로 흘러가고 있으며, 국도 67호선 이 남북으로 지나고 있다. 구미2공단 의 남쪽은 구미3공단 과 맞붙어 있으며, 북쪽에는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 와 구미공구상가 , 동락서원 , 인동향교 등이 자리하고 있다.
-
...서 인동부(仁同府) 의 민폐를 시정하고 조세를 감면하여 부민의 고통을 덜어주었다. 이후 1884년 성균관대사성, 1885년 이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879년(고종 16) 5월 인동읍민에 의해 수의이공만식영세불망비(繡衣李公萬植永世不忘碑) 가 세워졌으며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409-3번지 [ 수출대로 335 ] 인동향교 경내에 있다.
-
...기 인동도호부사를 역임한 무신. 유호원 은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1826년(순조 26) 1월 24일 인동도호부사(仁同都護府使)로 부임하여 1830(순조 30) 2월 24일 암행어사의 계청(啓請)에 의하여 파직되었다. 인동읍민에 의해 유호원 을 기리는 흥학선정비(興學善政碑) 가 세워졌으며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내에 있다.
-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1855년(철종 6) 7월 27일 인동도호부사(仁同都護府使)로 부임하였다. 1859년(철종 10) 6월 충주영장으로 승진되었다. 1859년(철종 9) 7월 선정비가 세워져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내에 있으며, 1859년(철종 10) 세워진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가 경상북도 구미시 옥계동 의 도로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