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에 있는 조선시대 공자 를 모신 사당. 인동향교 는 여말선초(麗末鮮初)에 건립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임진왜란 직후인 1601년(선조 34)에 안태동 의 옥산 북쪽으로 이건하였다. 그러나 지형이 좋지 않다 하여 1634년(인조 12)에 옥산 서쪽인 인의동 으로 재이건하였다...
-
... 재임기간 동안의 선정을 기려 주민들이 비를 세웠다.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月日立)'이라 기록되어 있어 이 비가 1658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비석은 인동향교 의 입구 앞쪽에 다른 여러 기의 비석과 함께 세워져 있다. 인동향교 입구 앞쪽 ...
-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1855년(철종 6) 7월 27일 인동도호부사(仁同都護府使)로 부임하였다. 1859년(철종 10) 6월 충주영장으로 승진되었다. 1859년(철종 9) 7월 선정비가 세워져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내에 있으며, 1859년(철종 10) 세워진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가 경상북도 구미시 옥계동 의 도로변에 있다.
-
...기 인동도호부사를 역임한 무신. 유호원 은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1826년(순조 26) 1월 24일 인동도호부사(仁同都護府使)로 부임하여 1830(순조 30) 2월 24일 암행어사의 계청(啓請)에 의하여 파직되었다. 인동읍민에 의해 유호원 을 기리는 흥학선정비(興學善政碑) 가 세워졌으며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내에 있다.
-
...에 거주하였다. 무과에 급제하였고 1851년(철종 2) 7월 30일 인동부사로 도임하였다. 학문을 장려하고 선정을 베풀어 1855년 6월에 있은 도정(都政; 근무 평정)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 경기중군(京畿中軍)으로 승진되었다. 1855년(철종 6) 7월 인동부민들이 세운 흥학선정비(興學善政碑) 가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의 인동향교 내에 있다.
-
...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623년(인조 1) 알성문과에 급제하였다. 1633년(인조 11) 선산부사로 부임하였으나 이듬해 파직되었다. 이후 시강원보덕·사간원사간·동부승지·공조참의·대사간·한성부우윤 등을 역임하였다. 인동부사 재직 기간에 선정을 베풀어 당시 읍민이 세운 거사비(去思碑)가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仁同鄕校) 경내에 있다.
-
... 크게 모았다. 1682년(숙종 8) 서인(西人) 유생들이 김장생(金長生) 의 문묘종사소(文廟從祀疏)를 추진하기 위해 도회(都會)를 현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소재의 인동향교 에서 개최하자 장만기(張萬紀) , 김순발 , 장우한(張宇漢) , 장우주 등이 인동향교 를 점거하면서 양 세력이 물리적으로 충돌하였다. 이에 대구 , 인동 , 선산 등지의 대표적인 서인계 유생들이 모여 인동향교 에 소청을 설치하였다. 이 다툼 과...
-
... 역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 광주 쌍령(雙領) 전투에서 전사했다. 인동도호부사 재임 중 선정을 베풀어 인동부민이 세운 선정비가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의 경내에 있으나 비문이 마멸되어 판독이 어려운 상태이다. 인조 반정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에 녹훈되고 고향 예산 에 정문이 세워졌다. 시호는 충장...
-
...에는 ‘김후응조거사비(金侯應祖去思碑)'라 새겨져 있고, ‘경술삼월일립(庚戌三月日立)'이라 기록되어 있어 이 비가 1670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비석은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세워져 있다. 인동향교 의 입구 앞쪽에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의 비석을 옮겨와 정돈해 놓은 곳에 세워져 있다.
-
...정사을묘칠월일립(崇禎四乙卯七月日立)'이라 기록되어 있어 이 비석이 1855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 의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의 비석을 옮겨와 정돈해 놓은 곳에 세워져 있다. 인동향교 입구 앞쪽의 비석군을 찾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공직자 상을 생각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