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겨져 있고, ‘정해사월(丁亥四月)'이라 기록되어 있어 이 비석이 1887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 의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의 비석을 옮겨와 정돈해 놓은 곳에 세워져 있다. 인동향교 입구 앞쪽의 비석군을 찾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공직자 상을 생각하게 한다.
-
...라 새겨져 있고, ‘갑오칠월(甲午七月)'이라 기록되어 있어 이 비가 1894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 의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의 비석을 옮겨와 정돈해 놓은 곳에 세워져 있다. 인동향교 입구 앞쪽 비석군을 찾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공직자 상을 생각하게 한다.
-
...서 인동부(仁同府) 의 민폐를 시정하고 조세를 감면하여 부민의 고통을 덜어주었다. 이후 1884년 성균관대사성, 1885년 이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879년(고종 16) 5월 인동읍민에 의해 수의이공만식영세불망비(繡衣李公萬植永世不忘碑) 가 세워졌으며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409-3번지 [ 수출대로 335 ] 인동향교 경내에 있다.
-
... 말 구미 지역에서 활동한 무신. 서울 에 거주하였으며 무과에 급제하였다. 1867년(고종 4) 9월 20일에 인동부사로 부임하여 1870년(고종 7) 12월 고과 점수가 높아 전주영장(全州營將)으로 승진 임명되었다. 1871년(고종 8) 1월에 인동부민이 세운 흥학선정비(興學善政碑)가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의 인동향교 내에 소재하고 있다.
-
...개탄하고 중건하였다. 또 선산군수 재직 중인 1895년에 수재가 들자 몸소 민리를 순방하여 읍민을 위무하고 한편 금전 3천 냥을 변통하여 수해로 인한 익사자 및 민호의 표류자를 구호하고 무너진 제방을 고치게 하였다. 1880년(고종 17) 2월 및 6월 인동읍민이 세운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 2기가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경내에 있다.
-
...후사신미원월일립(崇禎後四辛未元月日立)'이라 기록되어 있어 이 비석이 1871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 의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의 비석을 옮겨와 정돈해 놓은 곳에 세워져 있다. 인동향교 입구 앞쪽 비석군을 찾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공직자 상을 생각하게 한다.
-
...팔년임오(光緖八年壬午)'라는 건비 연대가 기록되어 있어 이 비석이 1882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 의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의 비석을 옮겨와 정돈해 놓은 곳에 세워져 있다. 인동향교 입구 앞쪽의 비석군을 찾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공직자 상을 생각하게 한다.
-
...면에는 ‘광서오년오월일립(光緖五年五月日立)'이라 각자되어 있어 이 비가 1879년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제목의 수의(繡衣)는 암행어사의 별칭이다.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 의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의 비석을 옮겨와 정돈해 놓은 곳에 세워져 있다. 암행어사는 지역에 내려갈 때 선문(...
-
...不忘碑)'라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광서육년육월(光緖六年六月), 광서칠년이월(光緖七年二月)'이라 새겨져 있어 이 비석들이 각각 1880년 6월과 1881년 2월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구미시 임수동 인동향교 입구에 인동 의 각지에 산재해 있던 역대 현감과 부사의 선정비, 불망비, 거사비 등의 비석을 옮겨와 정돈해 놓은 곳에 세워져 있다.
-
조선 말 구미 지역에서 활동한 무신. 무과에 급제하였다. 인동부사로 도임 후 어사를 통해서 임금에게 상주하여 백성들이 제때 내지 못하여 누적된 조세를 면제 또는 감면해서 민생고를 덜어 주었다. 인동부민들이 고종 때 세운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가 인동향교 내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