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제작된 공주의 지도. 공주의 고지도는 지도책에 포함된 지도, 단독 지도, 읍지에 포함된 지도 등이 있으며 18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제작된 자료들이다. 공주의 옛 지도를 크게 지도책에 포함된 지도와 읍지에 포함된 지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872년 제작된 공주목의 지도. 임진왜란, 병자호란의 양란을 겪은 조선 사회는 18세기 영조·정조 대에 이르러 부흥기를 맞이하게 된다. 각종 문물 제도가 정비되고 사회적으로 안정되면서 중심 산업인 농업 부문의 생산력이 높아지고 이와 더불어 상품 유통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특히 이 시기는 실학을 비롯한 학문뿐만 아니라 문학·예술 부분에서도 많은 성과들이 축적되기도 하였다....
충청남도 공주시 금흥동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에 있는 성균관 생원 노혁에게 1401년에 발급한 진사 합격 증서. 「노혁왕지」는 성균관 생원으로 있던 노혁이 1401년(태종 1) 진사 23인으로 합격한 후 발급받은 증서이다. 노혁은 만경노씨(萬頃盧氏) 시조인 노극청의 6세손으로, 만경노씨 공주 입향조인 노충윤의 아들이다. 1399년(정종 1)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401년 문과 예...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에 소장되어 있는 사적입안. 「마곡사 사적입안(麻谷寺事蹟立案)」은 1851년(철종 2) 임원횡이 정리한 마곡사의 연혁에 관한 문서로, 제일 자세하며 사적입안이 작성된 이후의 중수 현황은 마곡사에 전해 내려오는 몇몇 현판을 통해 간단하게 살필 수 있다. 「마곡사 사적입안」에는 마곡사의 연혁을 비롯한 마곡사 전반에 걸친 여러 가지 기록들이 전해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