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31020
한자 公州寶林寺所藏妙法蓮華經券四
영어공식명칭 Lotus of the True Law Sutra(4th)
이칭/별칭 법화경(法華經)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승지골길 61[마암리 662-2]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464년연표보기 -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 간경도감에서 간행
문화재 지정 일시 2013년 4월 22일연표보기 -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소장처 보림사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승지골길 61[마암리 662-2]지도보기
성격 불경|기록유산
간행자 간경도감
권책 1권 1책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마암리 보림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전기 목판본 『묘법연화경』의 제4권.

[개설]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법화경(法華經)』이라고도 불리며, 중요 사상으로는 부처가 되는 길은 여러 갈래가 있다는 것을 보편화한 내용이 특징이다. 천태종에서는 근본 경전으로 삼으며,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불교사상을 정립하는 데 매우 큰 영향을 준 경전에 속한다. 『묘법연화경』은 현재 여러 곳에서 소장하고 있는데, 보림사에서 『묘법연화경』을 언제부터 소장하고 있었는지 그 경위는 알려져 있지 않다.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는 2013년 4월 22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7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저자]

『묘법연화경』은 본래 산스크리트어로 되어 있었으며 대승불교의 주요 경전 중 하나이다. 구마라집(鳩摩羅什)[344~414]이 한문으로 번역하였는데, 당시 번역된 책은 모두 7권이었다. 보림사 소장본은 송나라 계환(戒環)이 요약하고 주석을 한 것을 다시 명나라 일여(一如)가 주석을 모아 편집한 것이다. 그리고 1463년(세조 9)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이를 한글로 풀이하여 언해본으로 간행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조선 세조(世祖) 연간 간경도감이 설치되며 불교의 교화적 기능이 강조되었다. 간경도감에서는 불교 교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경전뿐 아니라 주석을 언해본으로 간행하였으며, 『묘법연화경』 언해본 역시 그런 의도에서 간행되었다.

[형태/서지]

보림사에 소장된 『묘법연화경』은 전체 7권 중 권4만 남아 있다. 목판으로 인쇄되었으며 선장본이다.

[구성/내용]

『묘법연화경』은 전체 28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제11품인 견보탑품, 제12품인 제바달다품, 제13품인 지품이 보림사에 소장된 『묘법연화경』에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묘법연화경』 언해본은 15세기 불전 언해의 특징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