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2244 |
---|---|
영어의미역 | Keunsaem Well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대통1길 8-1[봉황동 76] |
집필자 | 이해준,박범 |
성격 | 우물 |
---|---|
높이 | 75.5㎝ |
둘레 | 141㎝×138㎝ |
소재지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대통1길 8-1[봉황동 76]![]() |
소유자 | 공주시 |
관리자 | 공주시 |
문화재 지정번호 | 공주시 기념물 |
문화재 지정일 | 1997년 6월 5일![]() |
문화재 지정일 | 2024년 5월 17일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봉황동에 있는 우물.
[위치]
봉황동 큰샘 주변에는 봉황큰샘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큰샘골목길 앞 왕복 2차선에서 골목길을 따라 들어오면 있다. 좌측으로는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포정사문루, 충청감영 터 등과 도보 7분 거리에 있고 우측으로는 공주시청, 공주교육대학교와 도보 7분 거리에 있다.
[형태]
우물 바깥쪽에는 ‘정(井)’자 모양으로 석축을 둘러 우물을 보호하고 있으며, 석축 안쪽으로는 둥근 원형의 우물이 자리하고 있다. 우물 입구에는 나무 뚜껑이 덮여 있다. 뚜껑을 열어서 우물 안을 들여다 볼 수 있는데, 눈으로 보면 바닥이 보일 정도의 깊이이다. 우물의 높이는 75.5㎝이다. 우물 앞에는 안내판을 설치해 놓았다.
[현황]
큰샘은 봉황동 중간에 자리하고 있다. 1980년대 초까지 인근 주민들이 사용했다고 하니, 마을 부녀자들이 우물가에 모여 앉아 바가지로 물을 긷던 애환이 서린 장소이다. 만들어진 시기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궁정(宮井)이라는 이름이 전해 오는 것으로 보아 현 국립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교정에 위치했던 충청감영(忠淸監營)이나, 우물 앞 대통사(大通寺)의 전용 샘이 아니었던가 추측된다. 당시 이 지역의 주된 식수원으로 사용했을 만큼 수질이 좋고 수량이 풍부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도 우물 안에는 절반 이상의 많은 양의 물이 차 있으며 아직도 물이 나오고 있다. 2015년에는 공주시에서 복원 사업을 마쳐 공주시의 대표적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 봉황큰샘마을은 2020년에 ‘고도 공주의 스토리가 있는 소소한 마을’ 주제로 한 소규모 재생 사업에 선정되어 봉황큰샘마을축제가 개최되었다. 큰샘은 1997년 6월 5일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기념물 제24호로 지정되었다가 2024년 5월 17일 조례에 따라 공주시 기념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