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0391 |
---|---|
한자 | 中學洞 |
영어음역 | Junghak-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중학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박윤우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명칭유래]
1947년 동 이름 개칭 때 공주중학교의 이름을 따서 중학동(中學洞)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공주군 남부면(南部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고상아리(古上衙里)의 일부와 계곡(溪谷), 서당동(書堂洞), 족지동(足只洞)을 중학리(中學里)로 병합하여 공주면에 편입하였다. 1931년 4월 공주읍이 승격되어 공주읍으로 편입되었고 1938년 대화정(大和町)이 되었다. 1947년 일본식 동명 변경에 따라 대화정에서 중학동으로 개칭되었다. 1986년 1월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면서 공주시 중학동이 되었다. 1998년 12월 1일부로 정부의 과소동 통폐합 정책에 따라 행정동인 중학동과 봉황동이 중학동으로 통합되어 법정동인 중동, 중학동, 봉황동, 반죽동을 관할하고 있다. 중학동 행정복지센터는 옛 봉황동사무소가 있던 반죽동에 있다.
[자연환경]
중학동의 동부 지역으로는 100여m의 산지가 형성되어 있고, 서부 지역의 경계 지대에는 제민천(濟民川)이 흐르는데, 일부는 도로로 복개되어 있다. 제민천은 해발 고도 40여m에서 흐른다.
[현황]
중학동은 공주시 중앙부에 자리하고 있다. 면적은 1.46㎢이며, 2024년 9월 30일 기준 총 762가구, 1,328명[남 665명, 여 663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서부 지역 대부분에는 시가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도로변에는 상업 시설이 주로 입지해 있고, 도로 이면에는 주로 주거 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주거 지구에는 미로 같은 작은 길을 따라 단독 주택이 밀집해 있다. 주요 기관으로 공주시청, 공주우체국, NH농협은행 공주시지부, 공주교육대학교,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 등이 있다. 2019~2023년 동안 중학동을 중심으로 한 중심 시가지형 도시 재생 뉴딜 사업이 진행되기도 하였다.
주요 산업은 서비스업으로 시가지를 중심으로 관련 업체가 입지해 있다. 시가지 외곽에는 식량 작물, 특용 작물 및 과실류가 국지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제조업의 발달은 미미하며, 소수의 관련 산업체가 산재해 있다. 문화유산으로는 국가등록문화유산인 공주 중학동 구 선교사 가옥(公州中學洞舊宣敎師家屋)이 있다. 국도나 지방도는 개설되어 있지 않고, 시내 도로로 서쪽에 남북 방향으로 웅진로가 개설되어 있다. 웅진로는 중동 및 금학동과 연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