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0358 |
---|---|
한자 | 月松洞 |
영어음역 | Wolsong-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월송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박윤우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명칭유래]
다래울, 옹골, 사송정(四松亭) 세 마을을 합쳐 예전부터 부르던 이름으로 소나무에 비치는 달빛이 절경이라 하여 월송(月松)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백제시대에는 웅천, 신라시대에는 웅주에 속하였고,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는 공주목에 속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공주군 동부면(東部面)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공동(五公洞), 약천리(藥川里), 상송리(上松里), 성덕동(聖德洞), 가흥리(嘉興里), 요동(要洞)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월송리라 하고 장기면(長岐面)에 편입되었다. 1983년 공주읍에 편입되었고, 1986년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면서 공주시 월송동이 되었다.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공주시 장기면 지역 대부분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통합되었다. 이때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지 않은 장기면의 송선, 석장, 동현 3개 리와 금흥, 월송, 무릉 3개 동, 그리고 신관동의 일부 지역을 행정동인 월송동의 법정동으로 하였다.
[자연환경]
월송동의 동부 지역으로는 100여m의 산지가 비교적 넓게 형성되어 있고, 서부 지역과 남부 지역 및 북부 지역으로는 100m 내외의 산지가 국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산지 사이에는 북동과 남서 방향으로 흐르는 월송천(月松川)이 금강으로 유입되면서 비교적 넓은 충적 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월송천은 해발 고도 30여m에서 흐르며, 연변에 인공제방이 축조되어 있다.
[현황]
월송동은 공주시 중앙부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면적은 3.00㎢이며, 2024년 9월 30일 기준 총 2,537가구, 4,777명[남 2,358명, 여 2,419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월송천과 지류 연변의 충적 평야 일대에는 월송, 옹골, 정산, 다래울, 상송, 사송정 등의 마을이 있다. 총 경지 면적은 74.8㏊로 월송동 전체 면적의 4.70%를 차지한다.
월송천과 지류 연변의 충적 평야에서는 벼농사를 짓고, 낮은 산지 비탈면에서는 밭농사를 짓는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식량 작물과 특용 작물 및 과실류가 재배되고, 가축이 사육되고 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발달은 미미하며, 소수의 관련 기능 산업체가 산재해 있다. 월송동 행정복지센터 안에 있던 강북도서관은 2020년에 ‘공주기적의도서관’으로 신축되었다. 최근에 대규모 택지개발이 시작되어 월송국민임대아파트 등 아파트단지가 들어서고 있다. 문화유산으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인 충절사(忠節寺)가 있다.
국도 32호선이 금강에 연하여 동서 방향으로 지나며 동쪽으로는 무릉동에, 서쪽으로는 신관동에 연결된다. 국도 23호선도 남북 방향으로 지나가 남쪽으로는 금강 건너 소학동에, 북쪽으로는 장기면 송선리에 연결된다. 남쪽의 금강 변에는 국도 32호선과 국도 23호선의 교차로가 개설되어 있다. 이외에 시도 1번이 남북 방향으로 지나며 남쪽으로는 국도 23호선 및 국도 32호선에, 북쪽으로는 금흥동에서 국도 36호선과 연결된다. 또한 2024년에 착공에 들어간 공주~세종 광역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축 사업 구간에 포함되었다. 이에 따라 공주시 공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세종특별자치시 한별동까지 전용도로로 연결되어 대중교통 이용에 있어 편의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