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0860 |
---|---|
한자 | 高石鎭 |
영어음역 | Go Seokjin |
이칭/별칭 | 정여(貞汝),수남(秀南)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가평리 |
시대 | 근대/근대 |
집필자 | 정성미 |
성격 | 의병|독립운동가 |
---|---|
출신지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가평리
![]() |
성별 | 남 |
생년 | 1856년 1월 11일![]() |
몰년 | 1924년 12월 26일![]() |
본관 | 장흥 |
대표경력 | 독립의금부 참모총장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고창 출신의 의병이자 독립운동가.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자는 정여(貞汝), 호는 수남(秀南)이다. 1856년 1월 11일 지금의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가평리에서 태어났다.
고석진은 최익현(崔益鉉)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1906년 최익현이 전라북도 태인에서 의거를 일으킬 때 참모로서 최제학(崔濟學)·최학령(崔鶴齡)·이용길(李容吉) 등과 함께 각 지방을 돌아다니며 군사를 모집하고 무기를 준비하였다. 최익현 의진은 그 해 6월 5일 정읍을 거쳐 순창으로 진출하였으나, 6월 11일 전주와 남원에서 출동한 진위대 및 일본군에 포위되었다. 고석진은 최익현 등과 함께 끝까지 버티다가 결국 이튿날 최익현·임병찬(林炳瓚) 등 13명과 함께 붙잡혀 전주 진위영(鎭衛營)으로 호송되었다. 고석진은 6월 18일 서울로 압송되었다가 일본군 사령부에서 가혹한 심문을 받고 4개월간의 구류형을 선고받았다.
1910년 임병찬이 고종의 밀조(密詔)를 받고 다시 의병을 일으켰을 때 고석진은 참모관으로 활약했으며, 1912년 2월 독립의군부(獨立義軍府) 참모총장의 중책을 맡아 동지 규합 및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의 조직을 만들고 1914년 전국적으로 확대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5월 23일 전라북도 조직 확대 중 독립의군부의 정체가 일본 경찰에 발각되면서 독립의군부는 와해되었다. 1919년 고석진은 전국 유림 대표 137명 중의 한 사람으로 파리장서(巴里長書)에 서명하였으며, 이후 향리에 돌아와 교육 사업에 열중하며 학생들의 독립 사상을 고취시키는 데 열중하였다.
신림면 가평리 생가 가까운 곳에 있는 도동사에 최익현과 같이 배향되었으며, 도동사 내에 수공기념비(樹功紀念碑)가 세워져 있다. 1977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