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1722 |
---|---|
한자 | 立石山-臥石山- |
영어의미역 | Duel between Ipseok Moutain and Waseok Mountain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장산리 |
집필자 | 이윤애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장산리에서 입석산·와석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입석산과 와석산 싸움」은 청하면 장산리에 위치한 입석산(立石山)과 와석산(臥石山)의 생김새 때문에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는 산악전설이다. 힘이 센 장수가 서로 힘자랑을 하며 싸우다가 수바위는 장수처럼 우뚝 서 있다고 해서 입석산이 되었고, 암바위는 싸움에 져서 누워 있는 형상으로 와석산이 되었다고 하는 지명유래담이다.
김제 지역의 향토학자 정진형이 채록한 이야기이다. 그 내용은 전라북도 문화관광정보[http://www.gojb.net]의 전통문화 항목에 실려 있는데, 이는 김제시 문화관광과에서 제공한 정보이다.
아주 먼 옛날 힘이 센 장수가 암바위와 수바위에 살고 있었다. 두 산의 거리는 약 1㎞ 정도였다. 이 두 장수는 힘이 비슷해서 여러 차례 힘겨루기를 해도 그 자웅을 가리기가 힘이 들었다. 그런데 이들은 서로 힘겨루기를 멈추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정당한 방법으로 승부를 가리기 위해서 암바위와 수바위 중간 지점에 있는 팽나무 밑에서 힘을 겨루기로 약속을 하게 되었다.
이 때 수바위 장수는 자기의 걸음 거리로, 암바위 장수는 소변으로 힘겨루기 할 것을 결정했다. 두 장수가 힘겨루기 내기를 한 결과 수바위 장수는 자기의 발걸음으로 4~5㎝ 정도의 자국을 남기게 되었고, 암바위 장수는 겨우 소변 자리만 남게 되었다. 물론 결과는 수바위 장수의 승리로 돌아가게 되었다. 내기에서 승리한 수바위 장수는 우뚝 서 있게 되었고, 암바위 장수는 싸움에 져서 바위가 되어 누워 있게 되었다고 한다.
그 때 이후로 수바위는 입석산, 암바위는 와석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지금도 두 장수가 힘겨루기를 했던 팽나무 밑에 있는 바위에는 4~5㎝ 깊이의 수바위 장수의 발자취 자국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입석산과 와석산 싸움」의 주요 모티프는 ‘수바위 장수와 암바위 장수의 겨룸’이다. 「입석산과 와석산 싸움」은 민간신앙과 산의 생긴 모양을 통해 바위 명칭에 남성과 여성적 특성을 부여하여 그 이름이 지어진 연유를 알게 해주는 지명유래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