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0090 |
---|---|
한자 | 院坪川 |
영어음역 | Wonpyeongcheon |
영어의미역 | Wonpyeongcheon Stream |
이칭/별칭 | 모악천(母岳川)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봉남면|죽산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정길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산에서 발원하여 봉남면을 거쳐 동진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원평천(院坪川)은 김제시 금산면 화율리에서 지방2급 하천으로 시작된 뒤 금구천이 합류하는 봉남면에서 국가 하천으로 바뀌고 죽산면에서 동진강에 합류하여 서해로 흘러든다. 예전에는 우리나라 도작문화의 발상지였던 김제시 부량면 벽골제[사적 제111호]의 수원(水源)으로 이용되었다. 원평천과 동진강 사이에 형성된 충적평야가 벽골제 좌우에 걸쳐 있다.
원평천은 남쪽의 상두산과 동쪽의 모악산으로 연결되는 산등성이를 분수계로 유역이 형성되어 있다. 중류부와 하류부에서는 경사가 다소 완만하여 농경지 하천의 형태를 보이나, 상류부에서는 산지와 접하는 급경사의 전형적인 산지 하천을 형성하고 있다.
원평천의 유로 연장은 4.54㎞이고, 하폭은 9~40m이다. 유역 내 토지 이용 현황은 유역면적 16.23㎢ 가운데 경지 3.1㎢, 임야 12.7㎢, 대지 0.29㎢, 기타 0.14㎢이다. 유역 내 공장이나 대규모 농장이 없어 수질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상류 일부 구간의 하상은 암반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하상물질은 모래와 자갈 등이 혼재되어 있으며, 좁은 하폭으로 인하여 유수 소통이 불량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