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김제시 신풍동 에 있는 조선 후기 나주나씨 가문의 사당. 나주나씨(羅州羅氏) 는 문중 3세대에 걸쳐 8명의 효자가 나왔다. 팔효사(八孝祠) 안에 있는 은행나무는 팔효사 의 주벽 나안세(羅安世) 의 부친 나보증 이 어려서 심었다 하며, 나씨 문중에서 장원 급제 등 경사가 있을 때 이 은행나무에 큰 북을 달아놓고 쳤다고 한다...
-
...게 한 뒤 나응삼 의 모습[像]과 성명을 쓰고 구산처사(龜山處士) 라는 호와 함께 내려주었다. 이 사실은 『삼강속록(三綱續錄)』 에 실려 있다. 김제시 교동 에 있는 용암서원(龍巖書院) 에 아버지 나안세 와 함께 배향되었고, 나안세 로부터 시작된 나주나씨 여덟 효자를 기리는 신풍동 의 팔효사(八孝祠) 에도 배향되어 있다.
-
... [ 신풍동 , 1951년], 김제여자고등학교 [ 신풍동 , 1941년], 김제자영고등학교 [ 신풍동 , 1951년]가 있다. 문화재로 1653년에 건립한 팔효사(八孝祠) , 전라북도 기념물 제89호인 팔효사 의 은행나무,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2-3호인 악기장[장구, 강신하 ], 등록문화재 제219호인 손효성 가옥(孫孝誠家屋) , 등록문화재 제187호인 김제 ...
-
...(羅安仁) · 나안의(羅安義) · 나응허(羅應虛) · 나응삼(羅應參) · 나의(羅扆) · 나표(羅表) · 나계(羅禊) · 나한명(羅漢明) 이 배향된 팔효사(八孝祠) 가 있다. 경내에는 팔효사 유허비 와 수령 약 500여 년의 팔효사 은행나무가 있는데, 이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89호로 지정되어 있다. 김제시 하동 에는 묵재(默齋) 이귀(李貴) 를...
-
...까지 경전을 암송하고 가르쳤다. 1588년(선조 21) 나라에서 벼슬을 내렸으나 끝내 사양하였다. 『팔효집(八孝集)』 에 문(文)과 시(詩)가 수록되어 전한다. 세상을 떠난 지 30여 년 후인 1654년(효종 5) 지금의 김제시 옥산동 에 정려가 세워졌다. 나주나씨 여덟 효자를 기리는 김제시 신풍동 의 팔효사(八孝祠) 에 배향되어 있다.
-
...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6세손 나안세(羅安世) 는 승문원교리·외군헌부관을 지냈다. 팔효사(八孝祠) 와 용암서원(龍巖書院) 에 배향되었다. 7세손 나응허(羅應虛) 는 ...찰·청주목판관·청주진병마절제도위를 지냈다. 관련 유적으로 김제시 신풍동 안터 에 팔효사 가 있다. 1629년(인조 7)에 창건하였으며, 나안인(羅安仁) · 나안의(羅...
-
전라북도 김제시 신풍동 팔효사 에 있는 수령 약 535년의 보호수. 팔효사(八孝祠) 는 나주나씨(羅州羅氏) 문중 삼대에 걸친 8명의 효자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1629년(인조 7) 창건되었으며, 1868년(고종 5) 서원 철폐령으로 인하여 훼철되었다. 그 후 1965년에 중건되었다. 팔효사 의은행나무는 높이 16m, 가슴높이 둘레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