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201841 |
---|---|
한자 | 李坵 |
영어음역 | Yi Gu |
이칭/별칭 | 송암(松菴) |
분야 |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효자·열녀 |
지역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광덕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임삼조 |
출생 | 1730년![]() |
---|---|
몰년 | 1774년![]() |
출생지 |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 |
성격 | 효자 |
성별 | 남 |
본관 | 강양(江陽) |
[정의]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유학자.
[가계]
본관은 강양(江陽). 자는 사첨이고, 호는 송암(松菴)이다. 강양군(江陽君) 요(瑤)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증(贈) 통정대부(通政大夫) 공조참의(工曹參議) 이파(李芭)이고 아버지는 눌재(訥齋) 이여림(李汝霖)의 장남으로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서 태어났다. 아들 이영진(李榮鎭)도 김천 지역에서 효자로 이름이 났다.
[활동 사항]
이구(李坵)[1598~1664]는 1627년(인조5)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에 입격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오직 학문 연구에만 전념하였으며 천품이 총명하며 지기가 고결하고 고상하였다, 상주 출신의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문하에서 경학과 예학을 익혀 학덕을 겸비하니 사림에서 존숭하였다. 유고(遺稿)로 많은 시문(詩文) 전하는데 부친 이여림(李汝霖)과 아들 영진(榮鎭)의 시문과 함께 1925년 후손 이정추(李鼎樞)가 편집하고 정동범(鄭東範)‧정동철(鄭東轍)이 교정하고 간행한 『강양세고(江陽世稿)에 함께 실려 전한다,